행정소송에서의 사정판결 관련 판례 검토

1. 행정소송에서의 사정판결 관련 판례 검.hwp
2. 행정소송에서의 사정판결 관련 판례 검.pdf
행정소송에서의 사정판결 관련 판례 검토
행정소송에서의 사정판결 관련 판례 검토

1. 사정판결의 요건, 청구인용판결이 현저히 공공복리에 적합하지 않을 것

“재개발조합설립 및 사업시행인가처분이 처분 당시 법정요건인 토지 및 건축물 소유자 총수의 각 3분의 2 이상의 동의를 얻지 못하여 위법하나,
그 후 90%이상의 소유자가 재개발사업의 속행을 바라고 있는 경우, 재개발사업의 공익목적에 비추어 그 처분을 취소하는 것은 현저히 공공복리에 적합하지 아니하다고 볼 수 있다.”

“행정처분이 위법한 때에는 이를 취소함이 원칙이고 그 위법한 처분을 취소 ․ 변경함이 도리어 현저히 공공의 복리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 극히 예외적으로 위법한 행정처분의 취소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사정판결을 할 수 있으므로, 사정판결의 적용은 극히 엄격한 요건 아래 제한적으로 하여야 하고,

그 요건인 현저히 공공복리에 적합하지 아니한가의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위법 ․ 부당한 행정처분을 취소 ․ 변경하여야 할 필요와 그 취소 ․ 변경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공공복리에 반하는 사태 등을 비교 ․ 교량 하여 그 적용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폐기물처리업에 대한 불허가처분의 취소가 현저히 공공복리에 적합하지 아니하는 때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어 사정판결을 할 대상이 되지 아니한다.”

“위법한 행정처분을 존치시키는 것은 그 자체가 공공복리에 반하는 것이므로, 행정처분이 위법함에도 이를 취소하는 것이 현저히 공공복리에 적합하지 아니하다고 인정하여 사정판결을 함에 있어서는 극히 엄격한 요건 아래 제한적으로 하여야 할 것이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