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국어의 음운현상- 자음을 중심으로 -

1. 근대국어의 음운현상- 자음을 중심으로.hwp
2. 근대국어의 음운현상- 자음을 중심으로.pdf
근대국어의 음운현상- 자음을 중심으로 -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1. 구개음화(口蓋音化)
2. 어두 ‘ㄴ’의 탈락
3. 어두 자음군(語頭 子音群)의 된소리화
4. 문자 ‘  ,  ’의 소멸
5. ‘ㅎ’의 된소리
6. ‘ㅇ’
7. 평음의 된소리화 및 유기음화
8. 양순음 ‘ㅍ’ 앞에서 ‘ㄹ’의 탈락
<참고 문헌>
근대 국어는 시기상으로 볼 때 임진왜란 직후인 17세기 초부터 19세기 말까지의 국어를 가리킨다. 이 시기는 중세 국어의 연장선상에 있는 시기이면서 현대 국어와 가장 가까운 시기라는 점에서 우리말의 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시기이다. 따라서 근대 국어에 대한 이해는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에 대한 이해를 동시에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근대 국어의 음운 현상 중 자음과 관련된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1. 구개음화(口蓋音化)

근대어에서 가장 현저한 음운 변화의 하나가 구개음화(口蓋音化)이다. 국어사에서 구개음화(口蓋音化)라면 i, y 앞에서 ‘ㄷ ㅌ ㄸ’이나 ‘ㄱ ㅋ ㄲ’이 ‘ㅈ ㅊ ㅉ’로 변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런 변화는 남부 지방의 방언에서 매우 일찍 일어나 북상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말에서는 ‘ㄷ ㅌ ㄸ’의 구개음화만이 일어났으며 그것도 매우 늦게 일어났던 것이다. 현존 문헌들을 검토해 보면 구개음화의 예는 왜어유해(17세기 말) 에 먼저 나타남을 볼 수 있다.

打 칠 타(上 30)
瓦 지새 와(上 32)
刺 지를 ?(上 54)
黜 내칠츌(上 54)
觸 찌를쵹(下 24)
落 질락(下 30)

그리고 동문유해(1748)는 구개음화가 이미 완성되었음을 알려준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문법, 근대국어, 음운론, 구개음화, 음운탈락
김동소,『한국어 변천사』, 형설출판사, 1998
심재기,『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2』, 국립 국어 연구원, 1997
이기문,『 改訂版 국어사 개설』, 탑출판사. 1986
허웅, 『국어음운학』, 정음사,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