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국어 자음체계

1. 고대국어 자음체계.hwp
2. 고대국어 자음체계.pdf
고대국어 자음체계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Ⅰ. 서론
Ⅱ. 고대국어 자음체계
Ⅲ. 고대 국어 자음 체계의 제문제
1) 유기음 계열이 존재했는가.
2) 유성음 계열이 존재했는가.
3) 후음 계열은 존재했는가.
4) 치음 계열에 몇 개의 음소가 존재했는가.
Ⅳ.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현재까지 국어사의 기술에 있어서 가장 취약한 부분은 고대국어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중세국어나 근대국어에 관한 연구업적에 비해 양적으로 현저히 적을 뿐 아니라 내용 면에 있어서도 만족할 만한 연구 성과를 축적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사정은 근본적으로 자료의 부족에서 기인한 것임을 부인할 수는 없다. 게다가 연구의 직접적인 자료들이 한자를 이용한 차자 표기로 된 점도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면이 있다. 그러나 자료의 한계를 방법론의 정교화로 극복할 수밖에 없는 현재의 상황에서 연구방법과 자료를 대하는 연구자의 시각이 고정되어 있지는 않았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그 동안의 연구 업적 중 고대국어와 관련한 단편적인 언급이 아니라 전체 고대국어 자음체계에 대한 연구 내용을 살펴보고, 이 중 많은 논쟁이 되고 있는 문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Ⅱ. 고대국어 자음체계
박병채(1971)는 국어의 한자음의 최고 전승자음인 『훈몽자회』자음의 전면적 구조 분석에 의하여 중고 한음인 절운음과의 대비에서 얻어진 대응관계를 통해 고대국어의 음운체계를 수립하고자 한 연구이다. 여기서 재구된 자음체계는 다음과 같다. 이 체계는 유기음과 유성음 계열을 인정하지 않고 평음 계열만이 존재하며, 치음에는 마찰음과 파찰음의 두 종류가 있다.
k, t, p, c, s, n, m, ŋ, r, h
유창균(1980)은 이후의 고대국어 연구에 있어서 주류가 되는 방법론을 제시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삼국사기 지리지』를 대상으로 新舊兩地名의 음의 효용관계를 중심으로 성모의 체계를 구명하여 다음과 같은 체계를 재구한다.
문법, 고대국어, 국어사, 자음체계, 음운론
김동소(1998),『한국어 변천사』, 형설출판사.
박동규(1995),『고대국어 음운연구Ⅰ』,전주대출판부.
박병채(1971),『고대국어의 연구』,고려대출판부.
박창원(1994),「15세기 국어 자음체계의 변화와 통시적 성격(1)」,『인하어문연구』창간호.이기문(1972),『(개정판)국어사개설』,탑출판사.
이숭녕(1956),「ㅿ음고」,『서울대논문집』3.
유창균(1980),『한국 고대한자음의 연구Ⅰ』, 계명대출판부.
유창균(1991),『삼국시대의 한자음』,민음사.
장세경(1990),『고대 차자 복수인명 표기 연구』, 국학자료원
조경하(2002),「고대국어 자음체계」,『국어음운연구사(1)』, 태학사.
조규태(1986),「고대국어의 음운 연구Ⅰ」,효성여대 박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