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성서의 각권의 많은 경우와 같이 아모스서는 비유적 언어로 충만하다. 이러한 언어에 관한 정당한 해석은 특수한 심중성을 요구한다. 어떤 언어는 그 밖의 언어보다 쉽게 그 의미를 확인할 수 있고 결정할 수 있으며 설명이 된다. 특별히 시적인 문장에서는 문학적 표상 (literary image)을 적절하게 해석 하는 일이 실로 벅찬 일이다.
아모스 2:9절은 아모리 사람을 묘사하는 일을 직유(asimile)로 하고 있어서 그 키는 백항목 높이와 같고 강하기는 상수리 나무와 같다 하였다. 여기에서 예언자(아모스)는 비유적 언어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문학 비평적 해석은 이 들 귀절들을 그것들에게 상응하도록 예로 비유적 어법으로 하는 해석을 요구한 다. 그러나 여기에서 문자주의적 해석은 저자의 의도된 의미와는 빗나간 잘못된 해석에 빠지게 한다. 아모스는 어떤 특정 아모리 사람 한 개인을 묘사하기 위하여 그의 신장과 그의 체력이 초인간적이라고 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청중이나 독자들에게 비유를 사용하므로 아모리 민족이 강대함을 전하려고 한 것이다. 저자는 아모리 민족을 키가높고 우람한 나무들과 비교, 유비를 사용함으로 자기의 의사를 전달한다. 아모스 2:9절의 다음 부분에서 예언자는 더욱 직설적인 유비의 형식을 사용하여 내가 그 위의 열매와 그 아래의 뿌리를 진멸하지 아니하였느냐 한다.
....
성서와 식물 성서와 관련된 좀 생소한 식물들...
소속 : 도시.조경학부
팀명 : 박하^^
학번 : 20001919
이름 : 김 용환
성서에는 여러 가지 동․식물이 등장하게 된다. 예수님께서도 동․식물을 비유로 들어 많이 말씀하고 있..
성서 해석학의 개요 성서 해석학의 개요
1. 들어가며
성서의 말씀은 수개의 상이한 성분들 을 포함한다. 하나님의 말씀하신 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수단 다시 말하여 문장론적(literary), 역사적 (historical),..
문학비평에 대하여 문학비평에 대하여
1.문학비평의 입장
제임스바(james Barr)는 문학 작품을 두가지로 분류하면서 1)정보를 제공하는것
과2) 자체의 구조와 이미지 또는 심미적가치를 주는 것으로 분류하면서 2)의
경우는 객관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