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노조법에 쟁의행위에 대한 대체근로금지를 규정한 것은 단체행동권 실질적 보장을 위한 측면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쟁의행위 업무에 대한 대체근로 실시로 쟁의행위를 사실상 무력화 시킬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관련하여 노조법 43조에서는, 쟁의로 중단된 업무 수행을 위해 사업과 관계 없는 자 채용 또는 대체근로 금지를 입법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체근로금지의 명확한 범위 및, 필수공익사업장 대체근로 일부허용에 대해 논의가 필요하다.
Ⅱ. 채용/대체근로 금지의 범위
1. 현행법 태도
1) 구법의 태도
쟁의에 관계없는 자 채용/대체금지로 규정되어 쟁의와 관계없는 자는 비조합원도 금지, 조합원이외 모든 사람이 대체근로가 금지되어 있었다.
2) 현행법 취지
97개정 노동법에서는, 이러한 부분이 너무 엄격하다고 보아 비조합원에 의한 대체는 가능토록 하였다. 즉 일정 부분 쟁의기간중에도 사용자의 조업권 보장을 하도록 하였다.
2. 사업의 범위
1) 사업의 개념
대체근로 금지에서 사업의 개념은 물적시설, 노동력을 결합하여 일정한 목적을 추구하는 사회적 활동체를 의미하며 장소적 판단, 독립성 판단이 필요하다.
2) 장소적으로 분리된 경우
....
쟁의행위와 대체 근로 금지의 범위 쟁의행위와 대체근로금지의 범위에 대한 검토
1. 들어가며
최근 쟁의행위에 대한 대체근로가 하나의 쟁점이 되고 있다. 노사관계선진화방안(일명 ‘로드맵’)에서도 대체근로의 허용범위를 확대하자는 안이 제시되..
대체 근로의 제한에 대한 개정노동법상 검토 노조법상 대체근로의 제한에 대한 개정 노동법상 검토
Ⅰ. 서
1. 대체근로 제한의 의의
사용자는 쟁의행위기간 중 그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의 수행을 위하여 당해 사업과 관계없는 자를 채용 또는 대체할 수 ..
07년 개정법에 따른 대체 근로의 제한 07년 개정법에 따른 대체근로의 제한
Ⅰ. 서
1. 대체근로 제한의 의의
사용자는 쟁의행위기간 중 그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의 수행을 위하여 당해 사업과 관계없는 자를 채용 또는 대체할 수 없으며, 또한 도급 ..
필수공익사업의 쟁의행위 필수공익사업의 쟁의행위
1. 필수공익사업의 쟁의권과 공익의 조화
현행 노조법은 필수공익사업에 대한 직권중재를 폐지하는 대신 필수유지업무제도를 신설하고 쟁의행위시 파업참가자 50%에 한하여 대체근로를 ..
대체 근로의 제한에 대한 법적 검토 개정 노조법에 의한 대체근로의 제한에 대한 검토
Ⅰ. 들어가며
1. 쟁의행위의 개념
쟁의행위란 노사관계당사자가 그 주장을 관철시킬 목적으로 하는 행위와 이에 대항하는 행위로서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
대체 근로의 제한에 대하여 논하라 대체근로의 제한에 대한 법적 검토
Ⅰ. 들어가며
헌법 제33조에서는 근로자의 사용자와의 실질적인 대등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근로3권을 보장하고 있다. 이러한 근로3권중 단체행동권을 구체화한 것이 쟁의행위이..
쟁의행위와 대체근로의 제한 쟁의행위와 대체근로의 제한 관련 노조법상 검토
Ⅰ. 서설
1. 의의 및 취지
노조법은 사용자는 쟁의행위 기간 중 그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의 수행을 위하여 당해 사업과 관계 없는 자를 채용 또는 대체할 수 없..
사용자의 금지행위와 대항 행위 쟁의행위에 대한 사용자의 대항 수단
- 직장폐쇄, 채용 또는 대체/도급 또는 하도급의 금지
1. 채용 또는 대체/도급 또는 하도급의 금지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의 수행을 위하여, 당해 사업과 관계없는 자를 ..
근기법상 채용내정과 관련한 주요 법적 쟁점 검토 근로기준법상 채용내정 쟁점 검토
Ⅰ. 들어가며
1. 채용내정 의의
채용내정이란 정식채용 상당기간 전에 채용할 자를 미리 결정해 두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졸업예정자를 졸업 후 채용하기로 미리 결정하는 경..
쟁의행위와 대체근로 관련 판례 쟁의행위와 대체근로 관련 판례 (노조법)
1. 대체근로 개요
사용자는 쟁의행위기간 중 그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의 수행을 위하여 ‘당해 사업과 관계없는 자를 채용 또는 대체’하거나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