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의 및 취지
노조법은 사용자는 쟁의행위 기간 중 그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의 수행을 위하여 당해 사업과 관계 없는 자를 채용 또는 대체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제43조). 이는 파업의 압력효과를 저하시키고 지나친 대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2. 필수공익사업에서의 대체근로의 허용
개정 노조법은 필수공익사업에 대한 직권중재를 폐지하여 파업권을 보장하는 대신 파업참가자의 50%까지 대체근로를 허용하여, 근로자의 단체행동권 보장과 공익의 필요를 조화시키고 있다.
Ⅱ. 대체근로제한의 내용
1. 서
사용자는 쟁의행위 기간 동안 그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의 수행을 위하여 해당 사업과 관계 없는 자를 채용 또는 대체할 수 없으며, 그러한 업무를 도급 또는 하도급 줄 수 없다.
2. 대체근로가 제한되는 자
당해 사업과 관계 없는 자의 대체근로만이 제한된다. 따라서 당해 사업과 관계 있는 자의 대체근로는 허용된다.
이때 당해사업과 관계있는 자란 파업당시에 당해 사업의 업무수행에 종사하는 자를 말하고, 그 업무수행 종사를 당해 사업의 근로자로서 하는지 사외 근로자로서 하는지는 불문한다.
3. 제한되는 대체근로의 범위
(1) 채용의 금지
....
대체 근로의 제한에 대한 법적 검토 개정 노조법에 의한 대체근로의 제한에 대한 검토
Ⅰ. 들어가며
1. 쟁의행위의 개념
쟁의행위란 노사관계당사자가 그 주장을 관철시킬 목적으로 하는 행위와 이에 대항하는 행위로서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
쟁의행위와 근로관계에 대하여 논하라 쟁의행위와 근로관계 전반에 대한 법적 검토
Ⅰ. 들어가며
1.쟁의행위의 의의
쟁의행위란 노사관계당사자가 그 주장을 관철시킬 목적으로 하는 행위와 이에 대항하는 행위로서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
대체 근로의 제한에 대하여 논하라 대체근로의 제한에 대한 법적 검토
Ⅰ. 들어가며
헌법 제33조에서는 근로자의 사용자와의 실질적인 대등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근로3권을 보장하고 있다. 이러한 근로3권중 단체행동권을 구체화한 것이 쟁의행위이..
쟁의행위와 근로관계 쟁의행위와 근로관계 (임금청구권) 관련 판례 검토
1. 정당한 쟁의행위에 대한 사용자의 대응
쟁의행위가 정당할 경우 노동조합은 쟁의행위에 대하여 민형사상 면책을 받게 된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
쟁의행위와 대체근로 관련 판례 쟁의행위와 대체근로 관련 판례 (노조법)
1. 대체근로 개요
사용자는 쟁의행위기간 중 그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의 수행을 위하여 ‘당해 사업과 관계없는 자를 채용 또는 대체’하거나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
쟁의행위와 대체 근로관련 판례 1 노조법상 쟁의행위와 대체근로 관련 판례
1. 대체근로 개요
사용자는 쟁의행위기간 중 그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의 수행을 위하여 ‘당해 사업과 관계없는 자를 채용 또는 대체’하거나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
쟁의행위와 근로관계 쟁의행위와 근로관계
Ⅰ. 서설
1. 쟁의행위의 의의
쟁의행위란 노사 관계 당사자가 그 주장을 관철시킬 목적으로 하는 행위와 이에 대항하는 행위로서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것을 말한다.
2. 쟁의..
노조법상 쟁의행위 발생시근로관계 전반에 대하여 쟁의행위 발생과 근로관계
Ⅰ. 들어가며
쟁의행위란 노사관계당사자가 그 주장을 관철시킬 목적으로 하는 행위와 이에 대항하는 행위로서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근로자의 쟁의행위..
쟁의행위와 대체 근로 금지의 범위 쟁의행위와 대체근로금지의 범위에 대한 검토
1. 들어가며
최근 쟁의행위에 대한 대체근로가 하나의 쟁점이 되고 있다. 노사관계선진화방안(일명 ‘로드맵’)에서도 대체근로의 허용범위를 확대하자는 안이 제시되..
07년 개정법에 따른 대체 근로의 제한 07년 개정법에 따른 대체근로의 제한
Ⅰ. 서
1. 대체근로 제한의 의의
사용자는 쟁의행위기간 중 그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의 수행을 위하여 당해 사업과 관계없는 자를 채용 또는 대체할 수 없으며, 또한 도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