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해고는 사용자측의 영역에서 그 해고의 필요성이 발생하고, 이를 이유로 아무런 잘못이 없는 근로자를 희생시킨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리해고의 경우에는 근로자의 생존권 보장을 위하여 보다 엄격한 절차적 제한이 요구된다. 정리해고는 사용자의 일방적인 사정에 의하여 이루어질 뿐 아니라, 대량해고의 경우가 많고, 해고대상자가 특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해고의 방침, 해고대상자의 수 및 해고대상자의 선별 기준이 마련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취지에 따라 우리나라 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은 사용자에게 해고를 피하기 위한 방법과 해고의 기준을 해고실시 60일 이전까지 근로자대표에게 통보하고 근로자대표와 성실하게 협의할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2. 근로기준법상 정리해고 규정의 검토
대법원은 2003. 7. 22. 선고 2002도7225 판결에서 제31조 제3항의 입법취지, 내용 및 그 효과를 집약적으로 표현한 바 있다. 여기에서 대법원은 현재 우리나라의 정리해고법제와 관련하여“근로기준법 제31조는 구조조정 등으로 인한 정리해고에 관하여 그 요건을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고, 근로자들과의 사전협의를 필수적인 절차로 규정하고 있으며, 그 효력에 대하여는 사법심사의 길이 열려 있다”고 설명하였다. 이를 나누어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성실한 노사협의 정리해고 요건으로써 성실한 노사협의 (노동법)
1. 성실한 노사협의의 의의
정리해고는 사용자측의 영역에서 그 해고의 필요성이 발생하고, 이를 이유로 아무런 잘못이 없는 근로자를 희생시킨다는 특징을 가지..
정리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 의무 관련 정리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 의무 관련 주요 판례 (노동법)
1. 근로자 과반수 대표자의 의미
- 근로기준법 제31조 제3항이 정리해고의 절차적 요건을 규정한 것은 같은 조 제1, 2항이 규정하고 있는 정리해..
정리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의 무관련 주요판례 1 근로기준법상 정리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 의무 관련 주요 판례
1. 근로자 과반수 대표자의 의미
- 근로기준법 제31조 제3항이 정리해고의 절차적 요건을 규정한 것은 같은 조 제1, 2항이 규정하고 있는 정..
정리해고시 근로자대표와의 사전협의 정리해고시 근로자대표와의 사전협의
1. 들어가며
사용자는 정리해고를 하기 위해서는 해고를 피하기 위한 방법 및 해고의 기준 등에 관하여 근로자 대표에게 해고하려는 날의 50일 전까지 통보하고 성실하게 협..
정리해고의 유효요건 노동법상 정리해고의 유효요건
Ⅰ. 들어가며
1. 의의
정리해고란 사용자가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로 인하여 근로자와의 근로관계의 존속이 불가능한 것을 이유로 하는 해고처분을 말한다. 근기법 제31조에 의..
정리해고의 유효요건에 대한 법적 검토 노동법상 정리해고의 유효요건 정리
Ⅰ. 들어가며
1. 의의
정리해고란 사용자가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로 인하여 근로자와의 근로관계의 존속이 불가능한 것을 이유로 하는 해고처분을 말한다. 근기법 제31조에 ..
근로기준법상 경영해 고시 사전협의 조항의 효력 문제 근로기준법상 경영해고시 사전협의 조항의 효력문제
대상판결 : 대판 2003두4119판결
[판결 요지]
1. 근로기준법 제31조 제1항 내지 제3항에 의하여 … 위 각 요건의 구체적 내용은 확정적이고 고정적인 것이 아..
명예퇴직제도와 그 운영방식 노동관계법상 명예퇴직제도와 그 운영방식
1. 명예퇴직제도와 정리해고와의 관계
근로기준법상 정리해고는‘긴박한 경영상의 필요성’이라는 실질적 요건과 절차적 요건, 즉 (1) 정리해고 이전 60일 이전에 근로자..
정리해고시 근로자대표와 사전협의의무에 관한 법적 쟁점 연구 근로기준법상 정리해고시 근로자대표와 사전협의의무
Ⅰ. 들어가며
근로기준법상 정리해고를 정당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근로기준법 24조의 요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이 중 하나가 근로자대표와 사전협의 의무이..
정리해고의 요건으로써의 근로자 대표와 사전협의의무 정리해고와 근로자대표와 사전협의 의무
1. 근로자대표와의 사전협의 의무의 의의
사용자는 경영상 해고를 하고자하는 경우 해고를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해고의 기준 등에 관하여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