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O 헌장은 직접적인 법원으로 간주하며 결사의 자유, 균등처우 등 많은 법의 원칙을 규정하고 있다.
2) 조약과 권고
조약은 비준국에 대하여 국제적인 의무를 촉구하는 문서이며 권고는 정부의 조치에 대하여 지침을 제시하는 문서이다. 조약, 권고 모두 국제노동법의 법원으로 간주하고 있다.
ILO 조약은 제도적인 틀 안에서 채택된다. 즉 이것을 채택하는 총회가 각국의 노사정 3자구성이므로 채택한 조약은 다른 외교적 조약보다 한층 더 효과적인 조약이 되기를 기대하고 채택된다.
그리고 ILO 조약 및 권고에 포함된 내용은 모두 국제노동의 기준이 된다.
ILO는 150개국 이상의 가맹국이 옹립하고 있으며 정부대표 뿐만 아니라 노사양측의 대표도 함께 구성된다. 이 3자 구성은 이 기관의 가장 큰 특색이며 자랑이다.
ILO에는 3개의 기관이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기관은‘국제노동총회’이며 통상 1년에 1회 개최된다. 그리고 각국 대표단은 정부측 대표 2명과 노사측 대표 각 1명, 총4명으로 구성되며 각 대표는 독자적으로 투표할 수 있다.
ILO의 제2의 기관은 이사회이며 3년마다 선거가 실시되며 총 56명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28명은 정부를 대표하며 각 14명은 노사를 대표한다. 또 하나의 기관은 국제노동사무국이며 ILO의 상설사무국이다. 사무국장은 이사회에서 지명한다.
조약 및 권고는 국제노동총회에서 2년 연속 토의한 후에 채택되며 총회에 출석한 대표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조약으로 하느냐, 권고로 하느냐의 선택을 둘러싸고 토론이 벌어지는 경우가 있으나 권고는 조약의 대상으로 하기에는 아직 미숙한 주제이거나 국제적 의무를 부여하기에는 아직 빠르다고 생각되는 사항에 대하여 권고로 한다.
....
노동법의 법원 및 법원 적용의 원칙 노동법의 법원 및 법원 적용의 원칙
Ⅰ. 서
1. 의의
일반적으로 법원이란 법의 존재형식을 말한다. 따라서 노동법의 법원이라 함은 노동법의 존재형식을 말한다.
2. 학설
무엇이 노동법의 내용을 결정하는 근거..
노동법의 법원 노동법의 법원
Ⅰ. 서
1, 법원의 의의
일반적으로 법원이라 함은 재판규범으로서 법의 존재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법원은 법적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법관이 기준으로 삼아야 할 규범의 존재형식이다.
2. ..
노동법상 유리한 조건 우선의 원칙 유리한 조건 우선의 원칙에 대한 노동법상 검토
Ⅰ. 들어가며
1. 법원의 의의
무엇이 노동법의 법원인가에 대하여 ⅰ)주관적 규범성과 특수성을 그 요소로 보아 주관적 법을 법원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 ⅱ)객관..
사회복지법의 법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설명하시오 사회복지법의 법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설명하시오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복지법의 법원의 개념
2. 사회복지법의 법원의 종류
1) 성문법원
① 헌법
② 법률
③ 명령
④ 자치법규
⑤ 조약
..
민사재판권의 물적 범위 논의로써 국제관할권 민사재판권의 범위로써 국제관할권
1. 들어가며
민사재판권의 물적 범위의 문제는 이른바 국제관할권 내지 국제적 재판관할권의 문제이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국제관할권의 의..
ILO와 국제노동법의 동향 ILO와 국제노동법의 동향
I. 서 론
1. 국제 노동법의 역사적 배경
국제노동법은 국제적 협정에 의하여 다수의 국가에 해당되는 노동법을 말한다. 노동법의 국제적 통일을 요구하는 움직임은 19세기 초부터 시작..
국제노동법의 목적과 내용에 대한 연구 국제노동법의 목적과 내용
1. 국제노동법의 목적
세계 어느나라 노동력의 값(임금)이 너무 싸면 그 나라에서 생산되는 상품의 값도 싸져 그 값싼 상품은 국제시장을 통하여 노동력의 값(임금)이 비싼 나라로 수..
[미국 연방법원] 연방법원의 체계(연방 지구법원, 연방항소법원, 연방대법원) [미국 연방법원] 연방법원의 체계
연방법원은 크게 헌법상 법원과 법률상 법원 두 가지가 있다. 헌법상 법원(constitutional court)은 지구법원(District Courts), 항소법원(Courts of Appeal), 대법원을 지칭하..
민사소송법상 석명의 대상 및 행사에 대하여 민사소송에서의 석명의 대상 및 행사
1. 들어가며
민사소송을 진행함에 있어서 사건의 내용을 이루는 사실관계와 법률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법원이 당사자에 대하여 사실상과 법률상의 사항에 관하여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