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8월 17일 외국인근로자의고용등에관한법률(이하‘법률’이라 함)이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산업연수생 제도의 폐해로 인한 노동착취 및 인권침해, 불법체류자의 양산을 막아보고자 산업연수제를 대체할 고용허가제 도입이 꾸준히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결국 외국인력 도입에 대한 입법화를 줄기차게 반대해오던 중소기업협동조합의 강력한 로비에 의해 가장 우선적이고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불법체류자 문제해결 방안과 산업연수제도 철폐라는 과제를 풀어내지 못한 채 저임금으로 부족한 인력을 수급하고자 하는 취지만으로 2003년 7월 31일 외국인근로자고용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는 것이 인권단체의 평가다. 위 법률의 시행으로 인해 합법적인 외국인력 제도가 마련되었다는 점은 환영할 만하지만 외국인이주노동자의 인권과 노동권을 보장하기에는 많이 미흡하며, 산업연수생 제도와 별반 다를 것이 없어 보인다.
이하에서는 위 법률이 외국인 산업연수생 제도와 어떤 차이점을 갖는지 살펴보고, 외국인이주노동자의 노동권을 보호하는데 갖는 문제점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2. 고용허가제와 외국인 산업연수생제도
(1) 고용허가제에 의한 외국인노동자의 고용
① 취업기간 및 근로계약기간
외국인이주노동자의 근로계약기간은 1년 이내의 단위로 계약을 갱신하여야 하며, 근로계약을 갱신한 경우 관할 출입국관리사무소에서 체류기간연장 허가를 받아야 한다. 또한 외국인이주노동자의 국내 취업기간은 최장 3년이며, 취업기간 만료 후 자진 출국시 출국일로부터 1년이 경과하여야만 다시 국내에 취업할 수 있다. 다만 외국인이주노동자는 취업기간 중 가족을 동반할 수 없다.
② 외국인이주노동자의 법적 지위
....
한·일 양국의 다문화 정책과 실태 한·일 양국의 다문화 정책과 실태
한국 1. 중앙정부의 다문화 정책
2. 지방 정부의 다문화 정책 사례
3. 한국 다문화 정책의 문제점
일본 1. 지자체 중심의 다문화 정책
2. 다문화 정책 우수 사례
3. 다문..
[사회복지정책론] 이주노동자 이주노동자
1. 이주 노동자의 용어와 개념
국적 국이 아닌 나라에서 유급활동에 종사할 예정이거나, 이에 종사하고 있거나, 또는 종사하여 온 사람을 말한다.(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
국제노동자(외국인근로자)와 국제결혼여성의 차별에 대한 대책방안 국제노동자(외국인근로자)와 국제결혼여성의 차별에 대한 대책방안
이주노동자와 국제결혼 이주여성이라는 특정 외국인 집단에 대한 한국 사회의 과도한 차별은 한국 사회의 독특한 편의적 민족주의와 집단적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