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법] 법규명령
- 리포트 > 법학
- [행정법] 법규명령
- 한글
- 2011.07.12
- 4페이지
-
[행정법] 법규명령
법규명령
Ⅰ. 의의
행정기관이 정립한 일반적‧추상적 명령 중에서 법규의 성질을 가지는 것
*법규⇒법령의 위임 또는 시행을 위해 제정되는 것으로, 국가기관은 물론 국민에 대해서도 직접 구속력을 가지는 법규범
☞이러한 법규명령이 행정규칙과 다른 점은 법규성을 가지므로, 법규명령에 위반한 행정작용은 그것이 위법으로 평가된다는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위법한 행정작용의 상대방인 국민은 그 하자에 대하여 행정쟁송등의 제기를 통하여 법적 구제를 받을수 있다.
Ⅱ. 종류
1. 효력에 의한 분류
(1) 독립명령 (법률대위명령)
법률에 종속하지 않고 헌법에 의하여 독자적인 권한의 발동으로 제정되는 것으로서 법률의 효력을 가지는 명령
헌 §76-대통령의 긴급명령, 긴급재정‧경제명령
(2) 법률종속명령
법률의 범위내에서 제정되어 법률보다 하위의 효력을 가지는 명령
① 위임명령 : 상위법령에 의해 개별적‧구체적으로 위임된 사항에 관하여 발하는 명령
위임된 범위내에서 새로운 입법사항을 규정할수 있음
☞예컨대, 근로기준법 42조 2항에서 “임금은 매월 1회이상 일정한 기일을 정하여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 대통령령이 정하는 임금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에서 말하는 대통령령(근로기준법시행령)이 위임명령의 예로 볼수 있다.
② 집행명령 : 상위법령의 시행에 관한 세부적 사항을 정하는 명령
상위법령의 명시적 근거 없어도 발할수 있으나 새로운 입법사항을 규율 못함
....
-
[행정법] 행정법의 법원과 효력
행정법의 법원과 효력
Ⅰ. 행정법의 법원
1. 행정법의 법원(존재형석)
: 행정법의 규제대상이 광범위하고 복잡, 전문. 기술화되어 있어서 행정법의 존재형식인 행정법의 법원 또는 연원 또한 다양하다. 성문법원..
-
[행정법] 행정벌
행정벌
Ⅰ. 행정벌의 의의
1) 행정벌이란 행정법상의 의무위반, 즉 행정법규에 의한 명령 또는 금지위반에 대하여 일반통치권에 기하여 과하는 제재로서의 벌을 말한다.
2) 행정벌은 과거의 의무위반에 대한 제대..
-
[행정법] 행정규칙
행정규칙
Ⅰ. 의의
행정기관이 정립하는 일반적‧추상적 규율 가운데 법규의 성질을 갖지 않는 것
☞ 행정규칙은 행정부가 제정하는 일반적추상적 규율인 행정입법이라는 점에서 법규명령과 차이가 없다. 그러나 ..
-
독점규제법을 위반한 주식취득의 효력
독점규제법을 위반한 주식취득의 효력
1. 들어가며
獨占規制法을 違反한 주식취득의 效力의 문제는 獨占規制法 違反의 法律行爲의 效力으로 바꾸어 생각할 수 있다. 行政法 이론에서는 公法法規를 團束法規와 强..
-
[행정법] 행정입법
행정입법
Ⅰ. 행정입법의 의의
: 행정입법이란 행정주체(국가, 지방자치단체)가 일반적․추상적 규범을 정립하는 작용을 말한다
: 국민의 권리․의무에 관한 법규의 성질을 가진 법규명령 외에 법규의 성질을 가지지..
-
민법상 불법행위의 성립요건으로써 위법성
민법상 불법행위의 성립요건으로써 위법성
1. 위법성의 본질
실정법의 객관적 위반은 위법이다. 즉, 사법적․형법적․행정법적 기타의 법규의 위반이 있을 때 및 권리의 침해가 있는 경우에는 위법이다(형식적 위..
-
[경찰행정법] 경찰행정법의 개념과 기본원리, 경찰행정법의 법원
[경찰행정법] 경찰행정법의 개념과 기본원리, 경찰행정법의 법원
목차
경찰행정법의 개념
I. 경찰행정법의 의미
II. 경찰행정법의 기본원리
1. 민주주의
2. 정치적 주읿
3. 효율성
4. 집권성
5. 법치..
-
행정법의 특질 전반에 대한 검토
행정법의 특질에 대하여
Ⅰ. 들어가며
행정법은 일반적으로 행정법만을 정리한 단일법전의 부재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행정 규율 전반에 있어서 공통의 기초 원리는 있게 마련이다.
이런 관점에서 행정법과 민법..
-
[행정법] 행정법의 특질
행정법의 특질
Ⅰ. 개설
단일법전의 부재. but 공통의 기초 원리
☞우리는 여기서 행정법과 민법을 일반법으로하는 사법체계와의 차이점을 배우게 됩니다. 다만 민법에 관한 기초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행정법의 특..
-
[행정] 행정법의 특질
행정법의 특질
Ⅰ. 개설
단일법전의 부재. but 공통의 기초 원리
☞우리는 여기서 행정법과 민법을 일반법으로하는 사법체계와의 차이점을 배우게 됩니다. 다만 민법에 관한 기초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행정법의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