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간은 각종 값 나가는 물건들(재화)을 가지고 다스리고 부리면서 살아간다. 예를 들면 건물이나 땅, 자동차나 TV, 시계, 금은보석 같은 것들이다. 이와 같이 인간이 재물을 지배하는 관계를 바로잡기 위한 법이 물권법이다.
2) 물권법의 특색
가) 물건에 대한 지배는 채권법에서도 다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임대차관계와 같이 물건을 빌려쓰고 사용료를 지급하는 관계가 그것이다. 하지만 물권법은 물건을 가지고 다스리고 부리는 관계이다. 채권법은 어떤 사람에게 무슨 일을 하라거나 무슨 물건을 달라거나 하는 것을 요구하는 관계를 다루는 법이다. 이러한 점에서 채권법은 물권법과 다르다. 임대차관계는 물건과 관련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물건을 빌려 쓸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하고, 그 대신 사용료를 달라고 요구하는 관계를 의미하므로 채권관계이다. 따라서 채권법에서 다루는 대상이다.
나) 채권법은 계약의 자유를 원칙으로 하므로 대체로 당사자가 마음만 먹으면 채권법의 규정에 얽매이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물권법은 국가 및 사회의 이익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므로 규정의 대부분이 강행규정이다. 따라서 당사자가 싫든 좋든 반드시 따라야 한다.
(2) 물권법의 법원(法源)
1) 형식적 의미의 물권법은 민법전 제2편 물권편에 있는 제185조에서부터 제372조까지의 규정을 가리킨다. 하지만 실질적 의미의 물권법은 민법전에 있는 물권편뿐만 아니라 모든 법령에 산재되어 있는 [물권에 관한 법]을 모두 가리킨다. 예를 들면 부동산등기법,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가등기담보 등에 관한 법률, 공장저당법, 광업법, 하천법, 도로법 등에 있는 물권에 관한 규정이 있다. 이러한 성문법은 당연히 물권법의 법원이 된다.
2) 위와 같은 성문법규정 말고도 민법 제1조에 의하여 관습법에도 법원으로서의 효력이 인정되므로 사회일반적으로 법률과 동일시되는 관습도 법원이 될수 있다.
....
법학 - 물권법 판례 3가지 정리 [ 물권법1]
판 례 정 리
1. 무효[일부무효] 92다16836
대법원 1992.10.13. 선고 92다16836 판결 【소유권이전등기】
[공1992.12.1.(933),3126]
---
【판시사항】
가. 허가를 받지 아니한 국토이용관리법상 규..
[법학] 민법에 대한 개괄적 이해 민법에 대한 개괄적 이해
1. 개관
(1) 민법이란 무엇인가
1) 민법은 형식적으로 볼때 1958년 법률 제471호로서 제정된 총 1118개조의 법률을 말하고, 실질적으로 볼 때는 사법(私法)에 있어서 상법 , 근로기준..
환경오염에 대한 책임 환경오염에 대한 법적 책임(公害責任)연구 개요
1. 들어가며
환경오염으로 인한 피해에 대한 법적 구제로서 대표적인 것은 환경정책기본법에 의한 손해배상제도이다. 이 밖에 동법이 적용될 수 없는 공해에 대한..
법해석론적 분석방법 법해석론적 분석방법
1. 법분류의 기준과 해석
1) 상위법과 하위법
- 법위 순서 : 헌법 - 법률 - 명령 - 조례 - 규칙
- 헌법은 모든 법이 기초로 해야하는 기본법, 법의 초석
- 법은 시대와 그 필요성에 의해서 ..
무역학의 기초 무역학의 체계
무역학은 국제무역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림> 무역학의 학문체계
무역경영 분야 : 상품학, 국제마케팅, 국제재무론, 다국적기업론
무역학은 국제무역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즉 무역이 국가 간의 ..
중국의가족과가족법에대한연구 중국의 가족과 가족법에 대한 연구
Ⅰ. 들어가며
Ⅱ. 가족구성(家族構成)과 가족분열(家族分裂)
Ⅲ. 가족공산(家族共産)과 가산분할(家産分割)
Ⅳ. 개인재산과 그 상속
Ⅴ. 승계
Ⅵ. 가장(家長)
Ⅶ. 처자(妻子)의 지위
Ⅷ..
[법학] 임차권등기명령제도에 대한 주택임대차보호법상 검토 임차권등기명령제도에 대한 주택임대차보호법상 검토
1. 들어가며
종전에는 주택임차인이 임대차계약기간이 종료되어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려고 해도 임대인으로부터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이사를..
보호와 평등과 공정을 바탕으로 한 노동법의 이념에 대하여 보호와 평등과 공정을 바탕으로 한 노동법의 이념에 대하여
1. work rule·approach
산업이 고도화되고 정보화 산업이 발전하면서 새로운 고용·취업형태가 등장하고, 근로자의 근로조건과 생활·의식도 노동법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