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교육제도와 관료

1. 조선의 교육제도와 관료.docx
2. 조선의 교육제도와 관료.pdf
조선의 교육제도와 관료
조선의 교육제도와 관료

발표를 시작하기 앞서 조선시대에는 각자의 신분에 따라 그들이 받을 수 있는 교육에 차이점이 있었으며 그들이 장차 얻을 관료직에 있어서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우선 신분제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과거제도에 가문과 지방의 차별은 없으나, 관직과 분관(分館)등의 급제자 진출에 문벌과 지방의 차별이 반영되었다.

1. 서울 양반: 외교문서를 관장하는 승문원이나 문한을 담당하는 홍문관 등 이른바 청요직으로 이곳의 관원이 된 사람은 재상으로 올라가는 길이 순탄하였다. 무과의 경우는 왕을 호종 하는 선전관에 소속되었다.

2. 평안도,함경도 등의 서북 사람 : 지방 차별에 있어서 가장 차별을 받아 문과 합격자도 성균관에 임용될 뿐 청요직에 나가지 못하였고, 고관으로 등용되는 경우가 드물었다.

3. 중인 : 문과에 합격하면 승진이 어려운 교서관에 임용하여 책을 출판하는 일에만 종사하였다. 무과의 경우는 궁궐이나 성문을 지키는 수문청에 소속되었다.

4. 서얼: 양반의 자손 가운데 첩의 소생을 이르는 말. 문과 응시자체가 금지되고, 오직 전문기술관이 될 수 있는 잡과응시만이 허용

조선의 교육제도

1. 성균관

1)의의 및 특징

조선시대 최고의 고등 교육기관으로써 국학, 태학, 국자감, 반궁, 현관 등으로 불리우기도 했다. 성균관은 태조 7년 (1398년)에 정도전이 유교적 가치를 바탕으로 폭넓은 학식과 인품을 갖춘 고급관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건립한 국립 최고 고등교육기관이었다. 성균관은 국가에 의해 관리되는 관학에 속했으며, 향교가 과도한 설립과 퇴폐로 인해 몰락을 맞게 된 반면 국가차원의 집중적인 관리와 육성으로 그것이 지닌 중요한 역할을 조선시대 내내 행할 수 있었다.

2)입학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