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혁명을 어떻게 볼 것인가

1. 동학혁명을 어떻게 볼 것인가.hwp
2. 동학혁명을 어떻게 볼 것인가.pdf
동학혁명을 어떻게 볼 것인가
동학혁명을 어떻게 볼 것인가

1.동학의 본질

동학은 위기의식이 고조되던 1860년에 개화·위정척사사상과 함께 그 전후 시기를 통하여 형성된 민중 구원의 종교요 사상의 인식체제였다. 그의 태동은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니었다. 그의 역사적 배경은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상황적 인식 논리에서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이른 바 서세동점적인 위기의식이 중국이나 일본 등을 강타하여 거센 도전과 응전 속에서 나왔기 때문에 한국적인 배경 뿐만이 아닌 동양적인 역사 발전 법칙에 따라 태동되었다고 본다. 근대 조선에 있어서 민족 운동의 창생기인 1860년으로부터 1870년사에에 아시아의 다른 나라와 같이 봉건적 민족적 위기에 직면하여 그것이 새로운 세계를 창조해야 하는 절박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동학은 수운 최제우에 의하여 창도되었다. 그는 후천개벽적 사명의식속에서 「동방의 빛」「구원의 손」이라는 인류 구원의식을 온몸에 가득담고 현세에 나타난 것이다.

따라서 동학은 보국안민의식과 인내천의 사상과 교리를 두 가지 큰 산맥으로 한 봉건적 반침략적(국난 극복 정신) 성격이 짙은 민중 기반적 구원의 종교였다. 갈 바를 모르고 방황하면서 사상의 부재 투성이인 이 민족앞에 사상적인 안주의 광장과 그 대책을 제공해 주었고 사색과 진로 모색의 용기와 신념을 심어 주었던 것이다. 특히 동학은 19세기 후반기의 우리 나라의 정치·사회·경제·문화적 여러 가지 모순·비리 ·부정을 과감히 개혁, 변혁시켜 지상의 복락과 인류 평화에 기여해야 한다는 투철한 민족관, 국가관의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정에서 발생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동학은 민중에 압도적지지 찬성을 받아 창도 이후 3년 이내에 삼남 일대에 선풍적인 인기 속에 농민 등 수많은 압박받는 교도를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