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품계에 의한 분류
2. 관직의 종류와 기능에 의한 분류
3. 실직(實職)과 산관(散官), 산직(散職)
4. 산관, 산계의 종류
5. 실직(實職)의 종류
6. 산직의 종류
조선의 관직구조는 아주 복잡하고 기준에 여러 가지 분류로 나뉩니다. 먼저 여러 분류를 소개하고 분류의 목적과 기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다만 서로 중복되는 부분이 있어서 분류하는 기준이 걸맞지 않거나 유품과 유품외와 같이 품계로도 관직기능으로도 분류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1. 품계에 의한 분류
1) 당상관과 당하관; 정3품 상계(上階) 이상의 관원을 당상관, 그 이하를 당하관이라고 합니다. 품계는 모두 9품인데, 품마다 정종의 구분이 있어 1품이라면 정1품, 종1품이 있습니다. 다시 정종 각품마다 두 개의 계가 있습니다. 상계란 그중 높은 계라는 뜻입니다.
당상은 청(廳)의 마루 위를 말합니다. 당상이란 그 마루 위로 올라올 수 있는 관원이란 뜻입니다. 즉그 청의 운영, 국가운영에 대한 토의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지닌 관원이라는 뜻입니다.
2) 참상관과 참하관: 당하관 중에서도 6품 이상을 참상관, 7품 이하를 참하관 또는 참외관이라고 합니다.
참상과 참하의 차이를 들라면 참상은 행정직이면서 어느 정도 정치적 비중과 역할을 가진 관직을 의미합니다. 7품 이하는 하급군인, 사역, 기능직과 같은 정치적 권력이나 참여권이 없는 관직인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다만 정치적 비중이나 권력은 관직의 종류에 따라 하급관직이라고 다 기능직은 아닙니다. 그러나 참상의 관직에 기능직이나 사역인에게 부여하는 관직은 없습니다.
2. 관직의 종류와 기능에 의한 분류
1) 문반과 무반, 동반(東班)과 서반(西班), 남반(南班): 문반은 문관, 무반은 무관을 의미합니다. 문반을 동반, 무반을 서반이라고도 합니다. 이는 조회 때 문반은 동쪽, 무반은 서쪽에 서기 때문에 붙여진 별명입니다.
....
조선시대 관직과 품계 조선시대 관직과 품계(官職과品階)
품계(品階)-(현대의 직위)-관직명(官職名)
정1품-(국무총리)-영의정 좌의정(문관) 우의정 도제조(이상 무관)영사 도제조 대장(이상 지방관)
종1품-(부총리)-좌찬성 우찬성 판..
조선시대 관직 및 품계 조선시대 관직 및 품계
正一品官:
대군(大君),(君=正一品부터 從二品까지 있음) 공신(功臣)및 왕비의 아버지는 부원군(府院君)이다.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우의정(右議政), 도제조(都提調=영의정..
관직과_품계 관직(官職)과 품계(品階)
관직이란 정부(政府) 직제(職制)에 의한 직책을 말하는 것이며, 품계란 관리의 등급으로 위계(位階) 또는 관계(官階)라고도 한다. 이는 중국 주(周)나라 때부터 시행되었으며, 우리 나라..
조선시대 인사행정 - 조선시대의 인사행정제도 조선시대 인사행정 - 조선시대의 인사행정제도
목차
조선시대 인사행정 - 조선시대의 인사행정제도
I. 인사기관
II. 과거제도
III. 품계 및 임용제도
IV. 보수
V. 성책평가 및 승진
조선시대 인사행정 ..
조선시대의과거제도
목차
1.문제제기(논문의 목적)
2.본론
1)본문 요약
2)조선시대 과거제의 특성
3.논점
1)조선 시대 과거제도의 개방성과 폐쇄성
2)조선시대 과거제도의 사회적 기능과 성격
4.결론
1.문제제기(논문의 목..
[한국사] 사림의 대두와 붕당정치 사람의 대두와 붕당정치
Ⅰ. 서론
우선 사림의 의미를 알아보면, 사림은 어의상으로는 사족(士族)․사류(士類) 따위와 같이유학을 공부하는 선비들의 집단이라는 의미이다. 조선의 건국과정에서 역성 혁명에 반대..
조선의 교육제도와 관료 조선의 교육제도와 관료
발표를 시작하기 앞서 조선시대에는 각자의 신분에 따라 그들이 받을 수 있는 교육에 차이점이 있었으며 그들이 장차 얻을 관료직에 있어서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우선 신분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