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굵기에 따른 선의 종류
선의 굵기는 0.18, 0.25, 0.35, 0.5, 0.7, 1.0, 2.0mm 등 7가지를 기준으로 가는 선, 굵은 선, 아주 굵은 선으로 나누며, 도면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한다.
가는 선(thin line): 굵기가 0.18~0.5mm인 선. 일반적으로 0.25mm를 많이 사용한다.
굵은 선(thick line): 굵기가 0.35~1.0mm인 선. 주로 0.5mm를 많이 사용한다.
아주 굵은 선(extra thick line): 굵기가 0.7~2.0mm인 선. 주로 1mm를 많이 사용한다.
가는 선: 굵은 선: 아주 굵은 선의 비율은 1:2:4로 한다. 예를 들어 가는 선을 0.25mm로 했으면 굵은 선은 0.5mm, 아주 굵은 선은 1.0mm를 사용한다.
그림 C3-1 (가)에서 가는 선(0.25), 굵은 선(0.5), 아주 굵은 선(1.0)을 서로 비교해 볼수 있다.
2. 모양에 따른 선의 종류
선을 그 모양에 따라 나누면 그림 C3-1 (나)와 같이 실선, 파선, 1점 쇄선, 2점 쇄선 등이 있다.
실선(continuous line): 끊어짐 없이 연속되는 선
파선(dashed line):3∼5mm의 짧은 선이 일정하게 반복되는 선. 선과 선 사이의 간격은 0.5mm에서 1mm 정도이다.
1점 쇄선(chain line):긴 선과 짧은 선이 반복되는 선으로 긴 선의 길이는 10∼30mm, 짧은 선의 길이는 1∼3mm, 선 사이의 간격은 0.5∼1mm 정도이다.
2점 쇄선(chain double-dashed line):긴선, 짧은 선, 짧은 선이 반복되는 선. 선의 길이와 선 사이의 간격은 1점 쇄선과 같다.
파선과 12점 쇄선의 긴선, 짧은 선의 길이 및 선의 간격은 선의 전체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그림 C3-1]
3. 용도에 따른 선의 종류
제도에 사용되는 선은 같은 굵기, 같은 모양의 선이라도 용도에 따라 이름이 다르다.(그림 C3-2)
외형선(visible line): 물체의 보이는 부분을 나타낸다.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숨은선(hidden line):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낸다. 굵은 파선 또는 가는 파선으로 그린다.
중심선(center line): 주로 도형의 중심을 표시할 때 사용한다. 가는 1점 쇄선으로 그린다.
치수선(dimension line): 치수를 기입할 때 쓰인다.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치수보조선(extension line): 치수를 기입할 때 쓰인다.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가상선(phantom line): 부품의 동작 상태나 가상의 물체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가는 2점 쇄선으로 그린다.
....
설비_CAD_제1장 설비 CAD
1.기초사항
도면
개념
도면: 정해진 도법으로 정해진 선이나 점, 기호 등을 사용해 물체의 형상이나 크기 등을 그린 그림으로 치 수, 문자 등의 필요사항을 기입한 것을 말하며 도면을 작성하는 것을 제..
설비_CAD_제1장 도면
개념
도면: 정해진 도법으로 정해진 선이나 점, 기호 등을
사용해 물체의 형상이나 크기 등을 그린 그림으로 치
수, 문자 등의 필요사항을 기입한 것을 말하며 도면을
작성하는 것을 제도
설계: 건축..
공동모금 지원신청서 작성법의 이해와 방법 공동모금 지원신청서 작성법의 이해와 방법
정 무 성
【 목 차 】
Ⅰ. 공동모금제도의 특성
Ⅱ. 공동모금 Proposal 작성
Ⅲ. Proposal의 실제
I. 공동모금제도의 특성
1. 공동모금의 사회복지적 의의
현대..
2025 한국수력원자력 원자력-전기전자 자기소개서 자소서와 면접 본인이 지원한 직무분야와 관련된 경험(업무, 프로젝트, 인턴십, 실습, 동아리 활동, 스터디, 교육 등)과 해당 활동을 통해 개발한 역량이 무엇인지 상세히 기술해 주십시오
직무와 관련한 활동을 언제, 어디서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