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 중심 문학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1. 반응 중심 문학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hwp
2. 반응 중심 문학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pdf
반응 중심 문학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반응 중심 문학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I. 머리말
II. 반응중심 문학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1. 반응 중심 문학교육론의 개념 비판
가. ‘반응’과 ‘환기’ 그리고 ‘거래’
나. 원심적 자세와 심미적 자세
2. 반응 중심 문학 교육의 관점에서 본 교과서
가. 문학 텍스트의 분절로 인한 반응의 오류
나. 파편적 하위 기능 위주의 반응 활동
III. 맺음말

I. 머리말

지금 문학교육의 화두는 학습자이다. 텍스트와 교사가 중심이 된 전통적인 문학 교육이 결코 학습자의 문학 능력(literary competence) 향상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지 못했다는 반성 때문이다. 문학 능력은 문학 텍스트를 읽고 비평할 줄 아는 능력이며, 그 능력은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길러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학습자 중심 문학 교육에 관한 논의는 문학 교육의 철학이나 이론적 측면에서 어느 정도 충분할 만큼 논의되었다. 수용미학(수용이론), 독자반응이론[비평], 구성주의 문예학 등은 논의된 이론 가운데 대표적인 것들이다. 문제는 이 이론들이 문학교육 이론은 아니어서 철학이나 방향의 측면에서 지침은 될수 있으나 교육 현장에 도입하는 데는 일정한 변용이 요구되었다.
반응중심 문학교육에 관한 이론은 상대적으로 교육에 더 많이 접근해 있어 학습자 중심 문학 교육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좋은 지침이 될 만했다. 환경과 여건이 다른 이론은 이론 그 자체의 정당성과 완결성에도 불구하고 다른 토양에서는 실천적 효과를 장담할 수 없는 법이다. 방법을 이론에 조회하는 체제의 확립은 옳다. 그러나 새로운 이론이 난무하는 현상은 교육 현장을 어지럽게 할 뿐이다. 이러한 풍토는 학교 교육의 많은 부분이 철학이나 이론에 대한 깊이 있는 인식을 요구하기 보다는 기능적 적용 가능성에 매달리는 표피성에도 기인한다. 그렇다고 교수-학습 방법의 모색이 철학과 이론을 준거로 하지 않는다면 그야말로 한갓 요령과 기술에 지나지 않는 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