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울즈(Knowles)는 자기 주도적 학습(SDL: self-directed learning)이란 '학습자가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거나 혹은 받지 않든 간에 자신의 학습을 위한 필요를 진단하고 학습의 목표를 설정하며, 학습을 위한 인적 물적 자원을 밝히고 적절한 학습의 전략을 선정하고 이를 적용하며 그 학습의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학습이다.'라고 하였다.
자기 주도적 학습은 인간이 학습하는 과정에 대한 인지적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매우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심리학적 지지를 받고 있으며, 구성주의에서 제시하는 '앎'의 구성에 있어서도 가르침(teaching)에서 학습(learning)으로 옮아가고 있음과 시사하는 바가 일치한다. 이는 가르침이 반드시 배움을 유발시키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정의를 통해 강조되는 것은 무엇을 왜 어떻게 학습할 것인가 그리고 학습의 성과를 무엇을 근거로 평가할 것인가의 문제를 선택 결정해 가는데 있어, 교사에 의해 일방적으로 선택 결정되어진 학습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학습을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결정한다는 것이다. 즉,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자기 주도적 선택과 결정권의 강조이다.
김태환(1996)은 학생이 학습의 주체로서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자기 학습력이라 규정지으며, 자기 학습은 자율 학습과 대등한 내용으로서 타율의 반대 개념으로 자유, 자립, 자조, 자강의 뜻과 상통한다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자기 행위를 지배하는 원리, 규율, 규칙 등을 자신이 선택 결정하여 자기 책임하에 스스로 학습하는 것을 말한다1)1) 김태환, “자기학습력의 습관 형성 지도”, 학교경영 (서울:교육연구사,1996.6), p.99.
고 하였다
....
자기주도적 학습전략을 읽고 자기주도적 학습전략을 읽고
━━━
2년 전이었다. 큰 사람이 되어 돌아오겠다며 당당하게 자원입대를 하긴 했지만, 막상 군대에서 2년의 시간이 지나고 나서 대학으로 돌아온 뒤에 들이닥친 가장 큰 시련은 주변 ..
왜 자기주도적 학습인가 알기 쉽고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였습니다.
잘 활용하셔서 좋은 결과 얻으세요^^*
돌던 학생이 저자들이 제시하는 방법에 따라 공부함으로써 공부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뛰어난 성적을 거두는 것은 분명, 학생 자..
특성중 학습성-봉사학습-은 청소년 봉사활동에 왜 중요한지 기술하시오 봉사학습은 봉사활동을 통해 청소년이 사회적 문제를 인식하고, 비판적 사고와 실천적 태도를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봉사학습을 통해 청소년은 사회적 문제를 직접 경험하고 해결방안을 고민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