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Plato)의 향연(Symposium)은 사랑(Eros)의 정의와 찬미를 통해 아름다움 - 지혜- 을 추구하는 인간의 본성을 이야기한다. 작중 인물인 소크라테스는 실재한 인물이기도 하나 여기서 소크라테스는 플라톤을 대신해 등장, Eros의 찬미라는 이름 하에 Eros의 본질 - Idea - 을 정의하고 이것이 어떤 단계를 거쳐 무엇으로 발전하는지 신들의 대가(大家) 디오티마(Diotima)의 입을 빌어 설명하고 있다.
철학 개론 과목의 기말 고사로 철학서, 특히 고전을 읽고 감상()을 쓰라는 과제를 받았을 때, 비록 번역된 형태이기는 하지만 ‘고전(古典)’을 읽어야 한다는 부담은 상당한 것이었다(아직까지 전혀 경험이 없었으므로). 하지만, 그 동안 “~개론”, “~입문”과 같은 입문서만을 읽은 후회에 이번에는 ‘진짜’를 읽고 싶은 욕망이 들기도 했다. 플라톤의 저작을 택한 이유는, 지금 수강하는 다른 교양과목의 교수님께서 강의 시간에 이 책은 필독서라며 추천하셨기도 하고, 그래서 찾아본 그의 작품 중 이 글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문체와 분량으로 씌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소크라테스의 숭배자 아폴로도로스(Apollodorus)가 역시 소크라테스의 숭배자인 아리스토데모스(Aristodemos)에게 듣고 글라우콘(Glaucon)에게 해준 ‘이야기’를 익명의 친구의 요청을 받아 그에게 되풀이해 주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
들소(이문열)와 소크라테스의 변명(플라톤)을 읽고 들소(이문열)와 소크라테스의
변명(플라톤)을 읽고
이문열의 들소와 플라톤의 향연, 이 두 작품을 읽으면서 선생님께서 이 두 작품은 무엇인가 공통점이 있을 것이라는 화두를 던져주신 기억이 나서 계속해..
플라톤의 철학 플라톤의 향연에서는 먼저 여러 사람들의 에로스에 관한 생각이 나오고 나중에 디오티마 부인의 말을 소크라테스의 입을 통해 에로스의 본질과 에로스의 역할및 인간이 에로스로 향하는 자세를 말하고 있다. 여기..
[철학] 플라톤의 향연와 소감 [철학] 플라톤의 향연
[향연]의 이야기 구조는 조금 복잡하다. 화자는 소크라테스의 숭배자인 아폴로도로스이다. 그에게 어떤 친구가 소크라테스가 참여했던 향연에서 오갔던 얘기들을 전해달라고 한다. 아폴로..
플라토닉러브,,사랑마케팅 Platonic Lover - 내 사랑은 영혼의 교감.
Platonic love.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향연]
- 지혜(sophia)에 대한 사랑(philos)
(철학(philosophy)).
오늘날의 플라토닉 러브.
- 이상주의적이며 관념론적..
성 담론의 이해 성 담론의 이해
목차
성 담론의 정의
기본 용어 정리
---주제의 시작---
플라톤의 연애론
푸코의 철학으로 본 우정
레브스트로스와 헤겔의 결혼,가족관
페미니즘
---
성 담론의 정의
담론
:이야기..
[철학]니코마코스윤리학 제2권 정리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덕의 특징
(2) 도덕적 덕의 유
(3) 도덕적 덕의 종차 - 중용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Ⅳ. 참고 문헌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 최명관 역. 「향연․파이돈․..
에로스에 관한 생각 플라톤의 향연에서는 먼저 여러 사람들의 에로스에 관한 생각이 나오고 나중에 디오티마 부인의 말을 소크라테스의 입을 통해 에로스의 본질과 에로스의 역할및 인간이 에로스로 향하는 자세를 말하고 있다. 여기..
2학기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플라톤은 『향연』에서 에로스의 개념을 통해 인간을 "결핍하고 욕망하는 존재"로 규정하였으며, 이는 인간 행동의 원동력이 단순한 이성이 아니라 충족되지 않은 욕망임을 보여준다.
즉, 인간은 결핍의 존재이자 ..
존재에 대한 철학적 탐구 에로스 개념의 철학적 배경 14p 홉스는 인간을 끊임없이 욕망하는 존재로 보았다.
욕망 또한 인간 존재의 본질적 요소다.
욕망이 없다면 인간은 어떤 존재가 될까?
그러나 플라톤에게 사랑은 단순히 결핍을 채우는 욕망이 아니다.
따라서 에로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