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초 백조파의 감상적 낭만주의, 창조파의 자연주의 등 이전의 문학경향을 부정 혹은 발전시킨 결과인 사회주의 경향의 새로운 문학, '경향(tendency, tendenz)'이란 말은 '무엇인가를 가지려 하다'라는 뜻을 지닌 것이다. 심리학에서는 경향을 '습관적으로 또는 감각적으로 일정한 대상에 대해 병적 애정의 증상을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경향의 형태는 특히 윤리적․정치적․사상적․미적인 측면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는 속성을 지닌다. 경향은 광의로는 일정한'신념․주의․이상․사조 등을 지향하는 것'이 되며, 협의로는 '사회주의사상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뜻한다. 1920년대 한국문단에서 유행어가 되었던 '신경향파문학'이란 용어는 광의로 쓰인 것이며, 이에 비해 '경향문학'이라는 용어는 협의로 쓰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1920년대 전반기의 한국문단에 '경향'이란 용어를 처음 소개하였던 박영희(朴英熙)는 '경향문학'보다 '신경향파문학'이란 용어를 자주 썼다. 이 점에 있어서는 백철(白鐵)도 마찬가지다. 박영희는 신경향파문학이란 말을 사회주의 색채를 띤 문학이라는 뜻과 신흥문학, 신사조(新思潮)의 문학이라는 뜻을 섞어서 사용하였다. 박영희가 '경향'의 의미에 대해 구체적인 정의를 내린 것은 이 말이 유행된 지 몇 년 뒤에 발표한 글 <신경향파문학과 그 문단적 지위>(개벽 64호,1925.12)에서였다. 그 당시 문인들 사이에서는 별다른 구별없이 혼용되었다. 1920년대 후반기에 들어서면서 경향문학 또는 신경향파문학이라는 용어는 자취를 감추기 시작하였다. 그 대신 프로문학․카프문학․무산자문학․계급문학․마르크시즘문학․사회주의문학․노동문학․이데올로기문학 등의 용어가 새로 등장하여 무분별하게 혼용되었다. 한편, 일본에서는 1922년 이후 '프로문예'라는 말이 사용되고, '경향문학'이나 '신경향파문학'이라는 말은 실제로 거의 쓰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