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바닥 경제

1. 손바닥 경제.hwp
2. 손바닥 경제.pdf
손바닥 경제
이번에 팀플 과제를 리디노미네이션으로 정하면서, 고학번 선배들과 함께 팀플을 하며 화폐의 가치에 관한 자료를 읽어보게 되었다. 그것과 함께 수집된 물가의 변동에 대한 자료들이 조금은 흥미로웠던 것이 이책을 고르게 된 이유가 되었던 것 같다.
사실 잘 알지 못하고 있던 우리 나라의 물가 변동을 생각할 때에 내가 가장 궁금하게 여겼던 것은 다른 나라(예를 들면 미국)의 물가는 오르고 내리는 변동을 가진다고 하는데, 우리 나라는 그러한 오르고 내리는 변동을 느껴본 적이 없었다는 것이다. 단지 늘상 오르는 것 뿐 아닌가

물가는 매년 한자리수의 상승을 보이고 있지만, 실제 서민들이 시장에서 피부로 느끼는 장바구니 물가는 보통 이보다 5 ~ 10배나 높다고 한다. 수치로는 물가가 작게 상승하였을지 몰라도 시민들은 그러한 물가 상승으로 인하여 허리 한번 제대로 펴지 못하는 어려운 생활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물가는 왜 이처럼 높을까
첫번째 이유는 방만한 통화관리, 즉 화폐의 과다공급이 물가 상승을 부채질 하고 있다고 한다. 유통에 필요한 양 만큼의 돈 이상이 시장에 공급되면 돈의 값어치는 당연히 떨어지게 되고 물가는 오르게 된다.
다음은 정부 예산의 지나친 팽창도 물가를 부추긴 주요 요인중의 하나라고 한다.
세번째 이유는 제품의 공급이 소수의 재벌기업에 독점되어 있어 공산품 가격이 지나치게 높다는 점을 들수 있다고 한다. 보통 3개 기업이 전체 시장의 50%이상을 차지하게 되면 독점가격을 형성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기준으로 보면 국내 시장에서 독점가격 형성이 가능한 품목이 90% 수준을 넘어선다고 한다.
이 밖에도 부동산 투기에 의한 땅값 상승이 물가를 올리는 커다란 요인이다. 땅값 상승은 주거비용의 상승을 불러 오는 것은 물론 도로, 항만 등 사회간접자본의 건설 비용과 공장 부지 가격 및 임대료 상승을 유발함으로써 일반 제품의 가격도 올리기 때문이다.
경영,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