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손근육
손은 깊은근막에 의해 엄지두덩칸, 새키두덩칸, 중심칸, 및 뼈사이모음근칸으로 구분되며, 각 칸에는 손의 고유근육이 포함되어 있다. 손바닥의 중심칸은 매우 두꺼운 세모골의 널힘줄로 덮여있는데 이를 손바닥널힘줄이라고 하며, 긴손바닥근의 힘줄이 손바닥에서 확장된 것이다. 손바닥널힘줄은 긴손바닥근 힘줄로부터 둘째~다섯째손가락의 바닥을 향해 부채꼴로 뻗어나가는 4개의 세로손가락띠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띠는 각손가락바닥의 피부주름, 첫마디뼈바닥 및 손가락섬유집에 부착한다. 손바닥널힘줄의 먼쪽부분에서는 세로손가락띠의 깊은쪽에서 가로섬유들이 세로손가락띠들을 연결하고 있는데, 이를 얕은가로손바닥인대라 한다. 손바닥널힘줄의 안쪽에는 피부미조직 내에 짧은손바닥근이라 불리는 작은 피부근육이 하나 존재한다. 이 근육은 손바닥널힘줄의 안쪽모서리에서 일어나 손바닥 안쪽부부의 피부에 닿는다. 이 근육은 손바닥 안쪽의 피부를 손바닥 중심부로 당김으로써 주먹을 꽉 쥘 때처럼 새끼두덩의 높이를 증가시키거나 공을 잡을 때처럼 새기두덩의 피부밑 지방덩이를 제 위치에 있게 하며, 그 밑을 지나는 자신경과 자동맥을 보호한다.
1) 엄지두덩근육
엄지두덩근육은 엄지두덩칸에 포함된 근육으로, 손바닥 가쪽부분의 융기부인 엄지두덩을 형성한다. 엄지두덩근육은 짧은엄지벌림근, 잛은엄지굽힘근 및 엄지맞섬근의 세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굽힘근지지띠와 이 띠의 가쪽 부착부인 손배뼈결절 및 큰마름뼈결절에서 주로 일어난다. 자신경 깊은가지의 지배를 받는 짧은엄지굽힘근의 깊은갈래를 제외하면 엄지두덩근육은 모두 정중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① 짧은엄지벌림근 : 엄지두덩의 얕은층, 가쪽에 위치하며 엄지손가락 첫마디뼈바닥의 가쪽부분에 닿는다. 엄지를 벌리고, 그 첫마디뼈를 약간 안쪽으로 돌림으로써 맞섬의 초기단계에서 엄지맞섬근을 돕는다.
....
[해부학] 근육의 수축 운동 근육의 수축 운동
목 차
Ⅰ. 서론
(1) 근육이란
Ⅱ. 본론
(1) 근육의 구조
(2) 근육의 수축운동
Ⅲ. 결론
Ⅰ. 서론 - (1) 근육이란
유쾌하게 한번 웃을 때 우리 몸속의 근육 650개 중 무려 231개가 움직인다..
신체와미술[손과발 해부학ppt 신체와 미술
손과 발의 해부학
손의 구조 1
인체의 사지(四肢)를 상지와 하지로 구분하고, 상지를 손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으나, 보통은 상지를 팔과 손으로 구별하여 부르는 수가 많다. 해부학적으로는 손목의 ..
활동 계획안 유아 오늘의 날씨는 어떤지 찾아볼까요?
활동지에 오늘의 온도를 기록해 볼까요?
색과 색이 만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활동지에 색을 칠해볼까요?
친구의 손, 발을 마분지 위에 그려볼까요?
친구들이 찍은 우리 ..
근육 -근육계-
우리 몸의 뼈에는 근육이 붙어 있다. 이 근육들이 필요할 때면 오므라들었다가 다시 본래 상태로 돌아감으로써 몸을 움직일 수 있다.
근육은 하는 일에 따라 골격근육, 내장근육, 심장근육 이렇게 3가..
영아의 대근육-소근육 운동발달 영아의 대근육-소근육 운동발달
I. 대근육 운동발달
대근육 활동이란몸통이나 팔다리를 움직여서 하는 활동으로, 첫 한 해 동안 새로운 대근육 운동 기술들이 빠르게 발달한다. 영아의 대근육 운동능력은 신체성..
미술 해부학 - 손금에 관하여 미술 해부학 레포트
[ 손 금 ]
♠손금 중요선
※생명선
인생을 손금으로만 본다면 가장 중요한 선이라고 할 수 있다. 결혼, 연애, 결혼과 연애의 과정, 건강, 운명, 생노병사 등 인생의 모든것이 나타나는 가장 ..
[운동치료학] 근골격계의 기능해부 및 운동학 - 족관절과 발 [운동치료학] 근골격계의 기능해부 및 운동학 - 족관절과 발
목 차
[서론]
1.골학
2.관절학
3.근육과 관절의 상호작용
※ 추가내용
[서론]
족관절과 발의 기능
-족관절과 발의 일차적 기능은 보행동안 충격을 ..
[전기치료학] 통증기전에 대해서 통증기전
통증의 정의
통증전달섬유
통증의 해부학적 경로
제 1차 , 2차 , 3차 신경원
통증조절기전
상행성 통증조절기전
하행성 통증조절기전
통증기전의 여러 학설
관문 조절설
목차
통증의 정의
통증전달섬유
..
인체해부학예상문제 인체 해부학 예상문제
1. 인체를 구성하는 골격에 대해 쓰시오.
a. 흉곽 - 흉골, 늑골, 흉추
b. 척주 - 경추, 흉추, 요추, 천추, 미추
c. 상지대 - 쇄골, 견갑골, 상완골, 척골, 요골, 수근골, 중수골, 지골
..
인체 해부학 예상문제 인체 해부학 예상문제
1. 인체를 구성하는 골격에 대해 쓰시오.
a. 흉곽 - 흉골, 늑골, 흉추
b. 척주 - 경추, 흉추, 요추, 천추, 미추
c. 상지대 - 쇄골, 견갑골, 상완골, 척골, 요골, 수근골, 중수골, 지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