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1908~1937)은 1908년 1월 11일 아버지 김춘식(金春植)과 어머니 청송 심씨(靑松沈氏)의 2남 6녀 중 일곱째,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출생지는 셋째 누나 유경(裕庚)의 주장에 의하면 서울시 종로구 진골(운니동)이다. 그의 작품의 주무대인 강원도 춘성군 신동면 중리(실레) 427번지는 유정의 선대 고향인 것이다.
그는 서울에서 태어났지만 고향에다 적을 올렸기 때문에 생가가 실레인 것으로 알려져 왔다. 실레마을의 수려하고 아름다운 자연환경이 그를 매료시켜 작품 곳곳에 이곳의 지명이 등장하게 되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유정은 부유한 집안에서 사랑과 귀여움을 독차지하면서 자랐다. 그러나 몸이 허약하여 명이 길라는 뜻에서 멱설이란 아명을 가지게 되었다. 휘문고보 때에는 김나리(金羅伊)라고 불린 적도 있었다.
1914년 6세에 어머니를 잃고, 이어 1916년 아버지마저 여의었다. 이때부터 형수와 누님들의 손에서 자라게 되었는데, 늘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모성애 결핍의 어린아이로 자라났다. 어려서 천자문과 논어 등을 집안 어른 밑에서 수학하였고 1920년 서울 재동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고 월반을 하여 졸업하였다.
1923년 휘문고보에 입학했고, 바이올린, 하모니카, 축구, 야구, 권투, 소설 읽기 등을 즐겼으며 이때 급우인 안회남, 임화와 교우를 맺었다.
1927년 연희전문 문과에 입학했으나 이듬해 중퇴하였다. 중퇴 이유는 자신이 더 배울 것이 없다는 것과 형 유근(裕近)의 방탕한 생활로 가정이 곤란했다는 것, 그리고 유정이 병(늑막염, 치질)을 앓게 된 데서 기인하는 것 등으로 보인다. 그의 나이 21세 때에는 연상의 기생 박녹주(朴綠珠)와의 사랑은 일방적인 짝사랑에 그치고, 그로부터 「두꺼비」라는 작품의 모델만 얻었을 뿐이다.
....
김유정의_잃어버린_작품과_왜곡된_기록 김유정의 잃어버린 작품과 왜곡된 기록
벽호에서 간행된 “한국대표명작총서 18” <안회남>을 보았다. 그런데 거기에 수록된 <투계>, <기차>라는 작품은 김유정의 글을 개작한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김유정에 ..
유정의 그물- 김유정 문학의 심리비평적 연구 - 裕貞의 그물
- 김유정 문학의 심리비평적 연구 -
유 인 순
(강원대)
Ⅰ. 여는 말
가난과 병고와 고독 속에서 문학을 위해 순교했던 유정은 이제 우리 문단의 신화적 존재가 되었다. 살아서 그토록 불..
(A+ 레포트) 김유정의 동백꽃을 읽은 후 나의 소감 이 자료는 김유정의 동백꽃을 읽고 난 소감과 함께 주요 내용을 분석, 정리한 A+ 레포트이다.
I. 서론
II. 본론
1. 작가 김유정에 대하여
2. 동백꽃의 등장 인물
3. 동백꽃의 줄거리와 특징
4. 동백꽃을 읽은..
정 유정 장편소설 ‘28’ 상세하고 성의 있게 적었다고 자신할 수 있습니다.
감상문뿐만 아니라, 자신의 자기계발과 힐링에도 도움이 될 유익한 내용들이 많아
매우 유용합니다. 잘 활용하셔서 좋은 결과 얻으세요^^*
병마가 시 전역을 휩..
동백꽃 동백꽃
김유정의 단편소설. 시골 남녀의 풋풋한 사랑을 그려낸 작품으로, 1936년에 발표되었다. 이 작품은 농촌을 배경으로 마름의 딸과 소작인 아들의 풋풋한 애정을 해학적으로 그려 낸 작품이다. 토착어와 향..
동백꽃 동백꽃
김유정의 단편소설. 시골 남녀의 풋풋한 사랑을 그려낸 작품으로, 1936년에 발표되었다. 이 작품은 농촌을 배경으로 마름의 딸과 소작인 아들의 풋풋한 애정을 해학적으로 그려 낸 작품이다. 토착어와 향..
소설 만무방[독후감상문] -소설 ‘만무방’을 읽고
김유정 작가의 여느 작품에서처럼 이 작품 또한 전형적인 농촌의 분위기를 선사하고 있다. 감각적인 색채어, 의성어 등과 자연스러운 사투리를 통해 이러한 농촌의 분위기가 한껏 두드러..
이인직의소설사상 이인직의 소설 사상
1.
국초(菊初) 이인직(李仁稙;1862~1917)은 우리 문학사에서 동시대의 이해조와 함께 한 시대를 풍미한 대표적인 신소설 작가이다. 구한말 정부의 관비 유학생이었던 그는 유학 생활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