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급 경영의 이론과 실제

1. 학급 경영의 이론과 실제.hwp
2. 학급 경영의 이론과 실제.pdf
학급 경영의 이론과 실제
학급 경영의 이론과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사 김 종 근

1. 도입

인간의 여러 활동 중에서도 '가르치는 일'은 가장 가치 있는 일 중의 하나이다. 인간은 교육을 통하여 성숙되고, 인류는 교육을 통하여 끊임없이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여 왔다.
특히, 우리 나라는 교육열이 높기로 세계적으로 유명하며, 그 높은 교육열 때문에 오늘의 경제 발전을 이루었다고 자랑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 학교 교육은 긍정적인 부분도 많이 있지만, 부정적인 부분도 많이 있다. 교육 정책의 일관성도 없었고, 교원에 대한 후생 복지도 미약했다. 교육 행정도 관료 행정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교직이 과연 전문직인가 하는 의아심을 품게 할 때도 있었다.
그리고, 선생님들 중에서 잘못을 저지르는 사람도 많이 생겨 사회적으로 비판을 받는 경우도 많았다. 부정 부패에 연루된 사례도 있고, 학생 지도의 미숙으로 인하여 문제를 야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저러한 이유들로 인하여, 지금까지의 우리 나라 학교교육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다.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고, 교육을 바로잡기 위하여 정부는 '94년도 부터 교육 개혁을 추진하고 있지만, 그 구체적 실천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기도 하여 선생님들의 혼란과 갈등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장 가슴 아픈 일은, 교권이 점점 추락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우리 나라는 군사부 일체(君師父一體)라는 보여 주듯이, 선생님에 대한 대접이 매우 높았으나, 현대에 이르러 선생님에 대한 사회적 지위는 점점 낮아지고 있다. 그러나, 국민들의 의식 속에 선생님에 대한 기대는 옛날 그대로 살아 있다. 그리고 '선생님=훌륭한 사람'이라는 등식이 옛날처럼 확고하지는 않지만, 완전히 부정되는 것도 아니다. 아직 희미하지만 그 불씨는 남아 있다.
....
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