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식이란
: 금속이 외부로부터의 환경과 화학적, 전기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손상되는 것
수분의 관여 여부에 따라서 건식 및 습식으로 나뉜다.
Fe → Fe2+ + 2e- : anode 반응
2H+ + 2e- → H2: cathode 반응
그러나 용액 중에 용존 산소가 존재하면 cathode반응으로서
2H++1/2 O2+2e-→ H2O
되는 산소환원반응이 일어난다.
부식환경
1. 건식(dry corrosion)수분이 존재하지 않는 산소, 공기, CO2가스 등의 환경에 대한 부식현상을 건식 혹은 가스부식이라 한다.건식은 일반적으로 고온가스, 건조기체와 접촉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온부식에도 해당된다. 예를 들면, 탄소강이 고온으로 인해 산화하여 500℃ 이상으로 되면 강의 표면에 Fe2O3, Fe3O4, FeO 등의 산화물 층이 생겨서 소모해 가는 현상이 건식이다.
2. 습식(wet corrosion)금속표면에 수용액이 존재하여 용액의 작용에 의해서 생기는 부식을 습식이라 한다.자연 대기 중, 해수 중, 토양 중 등의 부식.습식의 과정은 일반적으로 전기화학적 작용에 의한 것이 많다.
부식의 형태
1. 전면부식(general corrosion) 부식이 금속의 전 표면에 걸쳐 균등하게 생기는 경우이다. 대기 중의 부식, 수용액 속 의 화학 부식 등이 있지만, 전면적에 균등화되어 있기 때문에 부식의 진행은 국부 부식 만큼 빠르지 않다.
2. 국부부식(local corrosion) 부식이 금속 표면의 일부에 집중적으로 발생 되는 것으로, 그 작용은 단기간에 진행된다. 주로 금속 면에 전위차가 국부적으로 다른 것이 원인이다. 부식의 형태와 작용 인자에 따라 구식, 공식, 임계 부식, 전식 등이 있다.
....
재료거동학 - 자동차 및 수송기기의 파손 및 파괴사례와 예방책 재료거동학 - 자동차 및 수송기기의 파손 및 파괴사례와 예방책
목 차
1. 자동차 및 수송기기의 파손
2. 자동차 파손 및 파괴 사례
2.1 페라리 458 자동차 결함
2.2 도요타(TOYOTA) 리콜 사태
2.3 현대자동차 YF..
건축재료학 - 시멘트, 콘크리트에 관해 건축재료학 - 시멘트, 콘크리트에 관해
목 차
1. 건축재료를 분류하고, 설명하라
2. 각종 시멘트의 종류를 들고, 그 특징을 약술 하라
3. 골재의 품질 표현과 그 품질이 콘크리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
산도 1. 실험목적
대부분의 자연수, 가정하수 및 산업폐수는 주로 이산화탄소-탄산수소염 계(carbon dioxide-bicarbonate system)에 의한 완충작용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물은 pH 8.5이하의 산도(酸度)를 가지는데 ..
건축재료 및 역학 - 콘크리트에 관해서 목 차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재료
골재는 콘크리트 전 용적의 몇 %
좋은 골재란
좋은 콘크리트란
좋은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장단점
문제 1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재료는 무엇인가
콘크리트를 ..
[기계재료] 신소재 - 신소재의 종류, 나노재료, 리퀴드 메탈 신 소 재
신금속 재료
신고분자 재료
복합재료
종 류
비금속 무기재료
신금속 재료
형상 기억 합금 형상을 기억해 본 모습으로 돌아가는 합금
수소 저장 합금 수소를 금속수소화물 형태로 잡아 두는 합금
비..
금속의부식 금속의 부식
---
■ 부식(腐蝕) 및 방식(枋蝕)
● 부식
부식(corrosion)이란 금속이 어떠한 환경에서 화학적반응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으로 모든 금속 합금은 특정 환경에서는 내식성을 띄지만 다른 환경에서는 ..
재료공학 기초실험 - 광학현미경 조직검사 실험 [재료공학기초실험보고서]
- 광학현미경 조직검사 실험
◎이론적 배경
- Etching :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금속, 세라믹스, 반도체 등의 표면을 부식시키는 것. 부식 이라고도 한다. 표면 연마와 반도체의 정밀가..
부식과 방식의 원리 부식과 방식
1. 실험 목적
- 부식과 방식의 원리를 이해하여 실제적인 현장에서의 부식과 방식을 적용시켜 보다 나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함이다.
2. 배경적 이론
⑴ 부식
- 부식은 우리가 제품을 생산..
재료공학 기초 실험 - 광학현미경 조직검사 및 시편준비 재료공학 기초 실험 - 광학현미경 조직검사 및 시편준비
목 차
1. etching이란 무엇인가
2. 광학현미경의 이론
3. 실험결과
4. 토의사항 및 문제
5. 논의 및 고찰
6.참고 문헌
1. etching이란 무엇인가
Etc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