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 연구적 영화읽기 - 영화 ‘장미의 이름’을 중심으로, 요약본

1. 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 연구적 영화읽.hwp
2. 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 연구적 영화읽.pdf
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 연구적 영화읽기 - 영화 ‘장미의 이름’을 중심으로, 요약본
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 연구적 영화읽기 - 영화 ‘장미의 이름’을 중심으로, 요약본

Ⅰ.서론
이 글은 문화연구의 발전과정과 한국적 수용을 간단히 알아보고, 문학적 읽기와 문화연구적 읽기의 차이점과 올바른 관계정립을 영화[장미의 이름]을 통해 분석해 볼 것이다. 큰 의미의 문화연구는 온갖 인간 활동과 그 결과인 문화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정확한 의미의 문화연구는 탈근대주의와 탈구조주의로 맑스주의를 비판하여 새로운 사회분석의 방안을 마련하려는 연구이다. 최근 예술 보다는 대중문화 가 문화를 지배하여 이런 문화연구가 나오게 되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예술 이 당시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벗어나지 못한 상황에서 대중문화 는 저급문화가 아닌 독자적인 문화가 되었다.
문화연구는 문학위기론의 대안이기 보다 문학의 위상을 더 낮추었다고 본다. 문화연구는 문학연구의 방법론을 확대 적용한 것이고 모든 문화현상의 문학화라는 피시의 질문에 이스트호프는 문화연구는 다양성을 추구하여 문학연구의 방법론과 정치학과는 구별된다고 주장한다. 그는 고급/대중문화를 나누지 말고 문학과 문화를 의미화 실천행위 라는 범주로 연구하라 했다. 이글스톤은 전통적 문학연구는 주제, 구성, 인물을 강조하며, 문화연구는 기호, 이데올로기, 젠더, 주체, 타자, 제도, 독자의 지위 등의 요소에 초점을 맞춘다고 했다. 문학연구는 총체성을, 문화연구는 거대담론을 거부하며 다양한 읽기를 중시하는 핵심적 차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