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은 최근 10년 동안 노인연령뿐 아니라 전 연령에 걸쳐 급격히 증가하였다.
2010년 통계청 연감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자살률 세계 1위로 하루 약 42명이 자살하고 있고 이는 약 35분마다 1명씩 자살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한국은 자살률이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나라로 인구 10만 명당 31명 정도가 자살하고 OECD 평균 자살률 11.2명의 두 배가 넘는다.
* 출처 : 2010년 9월 통계청이 발표한 자살 통계 관련 그래프
이 중 노인의 자살은 우리사회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역사적으로 노인층은 타연령층에 비해 높은 자살률을 보여왔다(Kwan,1994). 미국, 일본 등 선진국가들에서 노인층이 차지하는 자살률은 여타 연령층보다도 높은 실정이며 중국사회에서도 65세 이상 노인의 높은 자살률이 보고되고 있다. (McIntosh, 1992; Lester,1992). 우리나라 또한 예외일 수 없는데 전체인구의 급격한 자살률 증가 추세 속에서도 특히 노인자살률의 증가가 가장 두드러지고 있다(남윤영,2005).
자살이란 일반적으로 자발적이고 의도적으로 자신의 생명을 끊는 행위를 의미한다. 노년기에는 경제적 어려움, 신체 및 정신적 능력의 장애나 질병, 사회적 관계망의 위축과 사회적 소외, 배우자의 상실, 정신장애 (우울증, 알코올중독) 등의 다양한 상실과 스트레스 사건을 겪으면서 자살의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노인이 자살을 생각하게 되는 원인이나 상황은 건강악화로 자녀에게 짐이 될 것이 두려워서, 경제적으로 어려워서, 자녀들이 속을 썩이거나 주변 사람이 관심을 가져주지 않을 때, 부부갈등 또는 형제간의 갈등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
직업병과 정신질환에 대하여 산업발전 속 직업병과 정신질환에 대하여
1. 들어가며
최근 자살이 사회문제로 인식되면서 빈곤층만이 아니라 재벌총수에서 중산층까지 자살을 선택할 만큼 심각하게 정신적인 문제로 고통을 받는 것이 알려지고..
정신건강과 정신보건사회복지 정신건강과 정신보건사회복지
정신보건사회복지가 정신질환과 정신장애를 중심으로 발전해온 것은 사실이지만 점차 더 포괄적인 범위에서의 정신건강이 중요해지면서 실천의 장(場)이 병원을 넘어 지역사회 전반..
우리나라 사회 환경에 맞는 복지사업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서술하시오 우리나라 사회환경에 맞는 복지사업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서술하시오(예 : 아동학대 문제 다양한 중독 문제 노인 치매 문제 등)
다문화가정과 사회통합복지사업
정신건강 문제에 대응하는 지역정신건강복지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