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네델란드
(가) 이용기술 및 처리현황
1) 오염토양의 처리는 토양정화서비스센타(SCG)에서 전담.
2) 처리되는 성분은 평균 7~8종의 유해물질로 70%가 PAHs와 중금속이다.
3) 처리기술 사용빈도:열적처리(60%), 물리화학적처리(40%)임.
가) 열적처리의 규모는 800,000톤의 처리능력을 가진 5개의 고정시설과 1개의 이동시설이 있고 가장 큰 시설이 200,000톤 규모이다.
※ 열적처리온도는 400~700℃ 범위에서 처리, 배출가스는 800~1200℃의 after burner에서 처리
나) 물리화학적(CP) 처리규모는 300,000톤으로 6개의 고정시설과 1개의 이동시설이 있고 이들 시설의 평균 처리능력은 20,000~60,000톤 규모이다.
4) 토양처리기술 이용 경향:열적처리에서 물리/화학적 처리기술의 사용빈도가 점차 많아지고 있음. 생물학적 처리기술은 Landfarming기술정도가 실용화되어 있고 기타 생물학적 처리기술들은 아직 개발단계에 있다.
5) 보관능력은 7개 지역에서 최대 700,000톤으로 보관은 긴급한 경우에만 하고 있으며 평균 보관기간은 8개월임.
(나) 연구개발
1) 네델란드 종합연구프로그램(1986 설립)에서 수행
2) 토양의 다기능성 및 유해물질의 확산 및 영향
3) 위해성 평가방법 및 기준설정
4) 정화 및 방지기술
가) 열적처리 연구개발
① 유기할로겐 물질로 오염된 토양처리 및 배출가스 정화
② 고온상태에서 처리한 오염토양에 대한 건축자재로의 재활용성 평가
나) 물리화학적처리 연구개발
① PAH's의 선택적 부상기술
② 안정화를 위한 각 단계별 조사
다) 생물학적 처리
....
우리나라지하수오염현황 우리나라 지하수 오염현황
가. 기사로 분석한 국내 오염현황
1991년부터 2003년까지 주요 일간지에 보도되었던 지하수 토양오염관련 기사를 수집 정리하였다. 대부분 주요한 사건에 대해서는 모든 일간지가 기사..
토양오염의 방지대책과 복원기술 토양오염의 방지대책과 복원기술
1. 들어가며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는 기술에는 그 실행위치에 따라 비원위치(Ex Situ)기술과 원위치(In Situ)기술로 나뉜다. 물리적인 차단 도 오염토양복원이라고도 하나 이것..
토양 유해폐기물 오염 처리사례 조사[외국사례] 유해폐기물 처리 사례
Ⅰ.서론
미국은 70년대에 Love Canel 사건을 겪으면서 토양오염과 이에 따른 지하수오염 문제에 가장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시작했다. 이후 Superfund로 지정된 대규모 오염지역을 포함한 ..
[현황과전망] 러시아_토쿠채프토양연구소현황 러시아 도쿠채프 토양연구소 개황
□ 설립연도 : 1927년
세계적인 토양학자 도쿠채프(V.V. Dokuchaev)가 세계 최초로 토양연구소를 설립하여 유명한 토양학자를 많이 배출하였음
□위치: Pyzhevskii per. 7, Mo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