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혈관 장애에 의한 보행 문제
편마비 환자에서 발생하는 입각기와 유각기에서의 특징적인 패턴
- 편마비 보행의 입각기
①내번첨족(equinovarus)자세, 체중 부하동안 발바닥 닿기나 전족부 닿기를 유도
②체간을 앞으로 구부리면서 중각 입각기에서 슬관절 과신전
(족관절 저측 굴곡 구축에 의한 슬관절 과신전과 체간의 전방 기울어짐)
③입각기 동안 제한된 고관절 신전을 관찰 할 수 있으며, 말기 입각기 동안 발을 질질 끄는 자세로 편마비성 하지를 놓는 장애를 일으킨다.
골반은 외전근 약화로 인해 입각기 다리 위에서 후인(retract)되고 유각기 다리 위에서 하강된다.
- 편마비 보행의 유각기
①유각기동안 발가락 끌기, 고관절, 슬관절, 그리고 족관절의 불충분한 굴곡으로 인한 전진 방해
②발가락 떼기 이후 까지 지연되는 고관절 굴곡
③전 유각기(preswing)와 유각기 동안 감소된 슬관절 굴곡
④말기 입각기에 불완전한 슬관절 신전과 족관절 배측굴곡으로 인한 부적절한 발의 배치를 관찰할 수 있다.
※보행 동안 근육들의 활동을 분석함으로서, 다음의 보행 장애의 범주들의 하나 이상에
배치할수 있다.
①과도한 신장 반사 특징이 있는 경축성 패턴
②중심에 발생하는 패턴의 근육 활성화가 감소되거나 소실되는 특징이 있는
마비성 패턴
③다수의 근 그룹들의 비정상적인 공동활성화 (coactivation)에 의해 발생하는
공동활성화 패턴
-경축
경축은 신경근 장애로 인해 자주 발생하게 되는 증상이며 많은 연구들이 경축이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왔다. 경축은 두 가지 방법으로 보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첫 번째 : 경축은 보행주기동안 근육이 빠르게 연장되어질 때 이 지점에서 근육에 부적절한 활성화를 초래한다.
....
[물리치료학] 정상보행과 편마비보행에 관해 - 목차 -
Ⅰ. 서론
1. 정의
1) 정상 보행 (Normal gait)
2) 편마비 보행 (Hemiplegia gait)
2. 연구의 목적
Ⅱ. 본론
1. 정상보행 (Normal gait)
1) 특징
(1) 체중심(Center of gravity : C.O.G.)
(2) P..
[물리치료학] 밀기 증후군[Pusher syndrome, Out of line]에 관해 밀기 증후군(Pusher syndrome, Out of line)
정상인이 안정시 또는 동작 시에 head, trunk의 평형, balance를 해부학적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것은 ■ Proprioception receptor, ■ verstibulo로 부터의 정보, ■ ..
[뇌손상] Pusher Syndrome[밀기 증후군]에 대해 Pusher Syndrome(밀기 증후군)
1. 정의
편마비 환자는 중력에 대항하여 적절한 자세를 취하지 못하고 앉거나 선 자세에서 보다 정상에 가까운 비(非) 마비 쪽으로 무게중심이 이동되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