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네이버 UI UX 디자이너 자기소개서

1. 2026 네이버 UI UX 디자이너 자기소개.hwp
2. 2026 네이버 UI UX 디자이너 자기소개.pdf
네이버의 서비스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아이디어와 방식을 제안하고 싶은지 서술해주세요.
처음 UI/UX 디자인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앱을 사용하면서 느낀 불편함을 해결해보고 싶다는 생각이었습니다.
경험이 쌓일수록 디자인이 곧 사용자의 문제를 풀어내는 하나의 도구라는 생각이 강해졌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개인별 사용 패턴에 따라 인터페이스가 적응형으로 바뀌는 '사용자 중심 구조화 방식'을 제안하고 싶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평균적인 사용자만을 기준으로 하기보다, 각자의 사용 맥락과 경험을 고려한 '유연한 UX 설계'가 앞으로 더 중요해진다고 생각합니다.
디자인을 사용자 중심으로 했다고 생각했는데, 실제로는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편리한 흐름에 머무르고 있었다는 점을 깨달았습니다.
디자인에서 마주치는 어려움은 대부분 사용자의 시선에서 출발하지 않았을 때 생긴다고 생각합니다.
네이버의 서비스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아이디어와 방식을 제안하고 싶은지 서술해주세요.
대중교통 내비게이션 리디자인' 프로젝트로 UX 공모전에 참여해 우수상을 수상했습니다.
프로젝트가 커질수록 일관성과 재사용성이 중요해진다는 걸 인턴십 중에 느꼈고, 이후에는 디자인 토큰과 오토레이아웃 활용에도 익숙해졌습니다.
네이버처럼 다양한 사용자층을 가진 서비스를 설계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지금까지 쌓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더 깊이 있는 디자인을 만들어보고 싶습니다.
네이버는 워낙 다양한 서비스를 보유하고 있고, 각 서비스마다 사용자층도 뚜렷하게 나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기도 하고, 결제와 금융이 결합된 중요한 서비스라 UX의 민감도가 높다고 느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개인별 사용 패턴에 따라 인터페이스가 적응형으로 바뀌는 '사용자 중심 구조화 방식'을 제안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실제 사용자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큰 벽에 부딪혔습니다.
디자인을 사용자 중심으로 했다고 생각했는데, 실제로는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편리한 흐름에 머무르고 있었다는 점을 깨달았습니다.
이후 주요 기능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하단 고정탭'을 새롭게 추가했고, 통계정보 역시 한 화면 안에서 슬라이딩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바꿨습니다.
또한, 피드백을 정성적으로만 받아들이지 않고 수치로 분석하고 싶어서 A/B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기존 시스템은 연령대가 높은 사용자들이 많았고, 예약 진행 중 이탈률이 60%에 가까울 정도로 높았습니다.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 통화를 직접 듣고, 고객센터 문의 유형을 분석했습니다.가장 큰 원인은 예약 과정이 한 페이지 에 너무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서, 사용자가 다음 단계로 넘어갈 때 '지금 뭘 해야 하지?'라는 불안을 느낀다는 점이었습니다.
초기 회의 때부터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서로 사용하는 용어와 시선이 다르다는 걸 바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건의도를 전달하는 방식이라는 걸 느꼈습니다.
기획자, 마케터, 디자이너로 구성된 팀이었는데, 각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우선순위가 달랐습니다.
사용자, 디자인, 기능, 경험, 생각, 중요하다, ui, 중심, 위해, 느끼다, 사용, 구조, 문제, 단계, 디자이너, 방식, 싶다, 네이버, 정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