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통해 공정엔지니어의 역할이 단순한 장비 운용이 아닌, 데이터 기반의 문제 원인 분석과 개선 솔루션 제안이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엔지니어의 업무는 결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문제 해결이라고 생각합니다.
DicerTeam은 생산현장의 기술적 문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품질 데이터를 설비 엔지니어와 공유하며 최적의 공정조건을 찾아야 합니다.
왜 공정엔지니어 중에서도 DicerTeam을 선택했나요?
저는 대학 연구 과정에서 절단 공정의 미세 균열 문제를 실험적으로 분석한 경험이 있어, 이 분야의 기술적 이해를 갖추고 있습니다.
저는 공정엔지니어에게 가장 중요한 역량은 '분석력'과 '현장 대응력'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장비를 조작하는 기술자가 아니라, 공정 데이터를 해석하고 문제의 본질을 찾아내는 분석형 엔지니어가 목표입니다.
이 과정에서 '공정조건의 미세한 변화가 불량률에 미치는 영향'을 실감하며, 데이터 기반으로 공정 최적화를 수행하는 엔지니어의 역할에 매료되었습니다.
이 때 레이저 절단 장비의 온도 변화로 인한 미세결함을 검출하기 위해 열화상 카메라를 활용해 데이터를 수집했고, 공정조건에 따른 열응력 차이를 수치화했습니다.
이를 통해 공정엔지니어의 역할이 단순한 장비 운용이 아닌, 데이터 기반의 문제 원인 분석과 개선 솔루션 제안이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또한 저는 현장 중심의 문제 해결력 향상을 위해, 캡스톤 디자인 프로젝트에서 생산라인 자동화 공정을 개선하는 시스템을 설계했습니다.
초기에는 단순한 장비 결함이라고 판단했지만, 원인을 분석하자 센서 진동값이 데이터 노이즈로 작용하고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단순히 결과를 수정하기보다는, 문제의 근본 원인을 물리적으로 규명하고, 데이터를 통해 해석하며, 팀원들과 지속적으로 피드백을 주고받는 과정이 진정한 엔지니어링이라는 사실을 배웠습니다.
앞서 언급한 '마이크로 드릴 공정 프로젝트'에서도 문제의 원인은 장비 결함이 아닌 진동 노이즈였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공정엔지니어에게 요구되는 것은 기술적 지식보다 '분석적 시각'임을 배웠습니다.
DicerTeam은 생산현장의 기술적 문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품질 데이터를 설비 엔지니어와 공유하며 최적의 공정조건을 찾아야 합니다.
저는 대학 연구 과정에서 절단 공정의 미세 균열 문제를 실험적으로 분석한 경험이 있어, 이 분야의 기술적 이해를 갖추고 있습니다.
DISCO의 기술력 중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무엇인가요?
저는 이점이 기술기업으로서 DISCO가 가지는 가장 큰 강점이라 생각합니 다.
공정엔지니어로서 가장 필요한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저는 공정엔지니어에게 가장 중요한 역량은 '분석력'과 '현장 대응력'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