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취급자 위생관리
식품 및 공정위생관리
환경위생관리
식품 및 공정위생관리는 식재료의 입고부터 조리, 배식, 잔반 처리까지의 전 과정을 포함한다.
식재료 위생관리
공정위생관리
기구 및 기기 위생관리
급식소나 가정 모두에서 식품취급자의 청결한 위생습관, 식재료 및 조리기구의 위생적 관리, 조리환경의 청결 유지가 필수적이다.
식품 취급자 위생관리
이에 따라 급식소 현장에서는 식품취급자 개인의 위생뿐만 아니라, 식품의 취급·공정과정, 조리환경 전반에 걸친 체계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본보고서에서는 급식소에서의 안전한 식품 생산을 위한 핵심 관리 영역을 식품취급자 위생관리, 식품 및 공정위생관리, 환경위생관리로 나누어 살펴본다.
식품 취급자의 위생관리는 식중독 예방의 첫걸음이자, 급식소 위생관리체계 중 가장 인간적 요소가 개입되는 부분이다.
식품 취급자는 조리전, 조리 중, 화장실 사용 후, 원재료를 만진 후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정기적인 위생교육은 식품취급자의 위생수준을 높이고, 위생의식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손의 상처 여부, 매니큐어 착용, 장신구 착용 여부, 위생복의 청결상태를 매일 확인하도록 한다.
결국 식품 취급자 위생관리는 '개인의 건강상태, 복장, 습관, 교육'의 네 가지 축이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이중 어느 하나라도 소홀히 할 경우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식재료 위생관리
식재료는 신선도와 위생상태가 최우선이다.
또한 원재료 보관 시에는 '원재료 →반조리식품 →완제품' 순으로 구역을 분리하여 교차오염을 방지해야 한다.
급식소의 환경위생관리는 조리실뿐만 아니라 조리 주변, 폐기물 처리장, 배수시설, 공기질, 해충 방제 등 외적 요인을 포함한다.
또한 조리실 내 조명기구에는 커버를 설치하여 조리 중 파손 시 유리파편이 식품에 섞이지 않도록 예방해야 한다.
해충의 출입을 막기 위해 조리실 창문에는 방충망을 설치하고, 쓰레기통은 반드시 밀폐형으로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생고기와 조리된 반찬이 같은 칸에 놓이거나, 어패류가 밀폐되지 않은 상태로 저장되어 냄새와 미생물이 확산되는 경우가 흔하다.
냉장고의 적정 수용량을 유지하는 것이 냉기 순환과 온도 유지를 돕는다.
이러한 개선방안을 실천하면 가정에서도 급식소 수준의 식품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나 노인처럼 면역력이 약한 가족 구성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