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용론은 문학이 단순히 감상이나 즐거움의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인간에게 교훈을 주고 윤리적 성찰을 가능하게 하며 삶의 태도를 변화시키는 사회적·도덕적 기능을 수행한다는 관점이다.
윤동주의 「서시」는 문학의 효용론적 가치를 가장 잘 드러내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효용론은 문학이 단순히 미적 즐거움을 주는 것에 머물지 않고, 독자에게 윤리적 교훈과 삶의 성찰을 제공한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윤동주의 「서시」는 쾌락이나 모방의 차원을 넘어, 문학이 인간의 삶을 교정하고 공동체적 가치를 확립하는 데 기여하는 효용론적 해석이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김유정의 단편소설 「봄봄」은 농촌사회의 현실을 배경으로 하면서도 독자에게 웃음을 주는 작품이다.
이처럼 「봄 봄」은 현실의 무거움을 웃음으로 전환하는 문학의 쾌락적 기능을 잘 보여준다.
따라서 「봄 봄」은 문학이 단순히 사회 현실을 모방하거나 교훈을 주는 것만이 아니라, 독자에게 웃음과 위안을 제공하는 쾌락론적 관점에서 가장 잘 해석될 수 있다.
서 시」는 시대적 고통 속에서도 양심과 사랑을 지키려는 시인의 다짐을 담아내며, 독자로 하여금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아야 한다는 윤리적 성찰을 촉구한다는 점에서 문학의 효용론적 가치를 잘 보여주었다.
김유정 「봄봄」-쾌락 론적 해석
특히 문학이 지닌 본질적 기능과 가치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관점으로는 모방론, 쾌락론, 효용론이 있다.
어떤 작품은 현실의 사회적 문제를 충실히 반영하는 모방론적 가치를 지니며, 또 다른 작품은 독자에게 웃음과 즐거움을 주는 쾌락적 기능을 수행하고, 어떤 작품은 독자의 삶을 변화시키는 교훈과 성찰을 제공하는 효용론적 성격을 드러낸다.
윤동주의 「서시」는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 수록된 대표작으로, 일제강점기라는 암울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시인의 내적고뇌와 자기 성찰을 가장 압축적으로 담아낸 작품이다.
서시」는 단순한 개인적 성찰을 넘어 시대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선택했다.
정리하자면, 윤동주의 「서시」는 단순히 한 시대의 청년시인이 남긴 시가 아니라, 시대와 세대를 넘어 인간다
김유정의 단편소설 「봄봄」은 농촌사회를 배경으로, 장인과 사위될 청년 사이의 갈등을 해학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봄 봄」은 당시 농촌의 가난과세대 간 갈등이라는 사회적 배경을 사실적으로 반영하면서도, 특유의 유머와 방언을 통해 무거운 주제를 경쾌하게 풀 어낸 작품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이해관계의 충돌은 현실에서는 심각한 문제였지만, 김유정은 이를 해학적으로 묘사함으로써 갈등을 웃음으로 중화시켰다.
이 작품은 농촌 사회의 고단함을 보여주면서도 웃음을 잃지 않는 인간의 강인함과 낙천성을 담고 있다.
이는 문학이 개인의 삶을 윤리적으로 이끌어주는 효용적 가치를 실감하게 하는 대목이다.
여기서 '잎새에 이는 바람'은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인의 마음을 상징한다.
이 구절은 주인공이 처한 처지를 적나라하게 드러내지만, 동시에 장인에게 종속된 청년의 억울함이 과장되게 표현되어 독자에게 해학적 즐거움을 준다.
이처럼 「봄 봄」은 독자에게 자신의 경험을 가볍게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한다.
이 구절 속 장인의 억센 말투와 반복적인 명령은 농촌 현실의 고단함을 드러내지만, 동시에 우스꽝스러운 언어적 리듬을 만들어낸다.
이는 문학이 단순히 줄거리만이 아니라 언어와 표현을 통해서도 독자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음을 잘 보여준다.
이처럼 「봄 봄」은 현실의 무거움을 웃음으로 전환하는 문학의 쾌락적 기능을 잘 보여준다.
따라서 「봄 봄」은 문학이 단순히 사회 현실을 모방하거나 교훈을 주는 것만이 아니라, 독자에게 웃음과 위안을 제공하는 쾌락론적 관점에서 가장 잘 해석될 수 있다.
이번 과제를 통해 윤동주의 「서시」와 김유정의 「봄봄」을 읽고, 각각 효용론적·쾌락론적 관점에서 해석하면서 문학이 지닌 다층적인 의미를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봄봄」은 농촌사회의 고단한 현실을 배경으로 하면서도 해학적 문체와 유머러스한 상황을 통 해독자에게 웃음과 위안을 제공함으로써, 문학이 지닌 쾌락론적 기능을 체감하게 했다.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2025).『문학의 이해』.서울: 방송통신대학교.
곽효환(2010).『윤동주를 읽는 시간』. 서울 : 문학과지성사.
이숭원(2004).『한국 현대시의 이해』.서울: 집 문당.
Abrams, M.H.(1971). TheMir rorandtheLamp: Rom anticTheoryandtheC riticalTradition.Oxford: Oxford U 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