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발달평가 만 0세 5명

1. 1년 발달평가 만 0세 5명.hwp
2. 1년 발달평가 만 0세 5명.pdf
교사가 딸랑이를 흔들면 눈을 크게 뜨고 소리나는 방향을 바라보며, 손을 뻗어 잡으려 한다.
교사의 얼굴을 오래 바라보며 눈맞춤을 시도하고, 미소에 웃음으로 반응한다.
교사의 얼굴을 바라보며 미소로 반응하고, 안아주면 손을 교사의 어깨나 옷깃에 올린다.
교사의 얼굴을 찾으며 안정을 구하고, 교사와 눈이 마주치면 웃음을 보이며 반응한다.
소리가 나는 악기를 흔들거나 교사가 두드려주는 소리를 들으며 미소로 반응한다.
교사가 작은 물방울을 떨어뜨리면 손을 오므려 반응하거나 표정 변화를 보이며 감각을 탐색한다.
바람이 불면 팔과 다리를 크게 움직이며 반응하고, 교사가 나뭇잎을 흔들어 보여주면 손을 뻗어 잡으려 한다.
눈을 마주치면 손을 흔들거나 웃음으로 반응하며, 교사가 다가오면 손을 뻗어 안기려 한다.
교사의 목소리에 반응하여 눈동자를 움직이고, 가까이 다가오면 입술을 오므리거나 소리를 내어 반응한다.
손을 흔드는 소리나 방울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소리가 나는 방향으로 고개를 돌린다.
또래가 울음을 보일 때는 고개를 돌려 바라보며 잠시 주의를 기울이는 모습이 관찰된다.
물이 담긴 컵을 기울여 소리가 나면 귀를 기울이고, 바람이 부드럽게 불면 손과 발을 움직이며 반응한다.
촉감 매트에 발을 대면발가락을 오므리거나 펴며 감각을 느끼려 하고, 교사가 보여주는 나뭇잎이나 꽃을 가까이 가져가면 손을 흔들며 잡으려 시도한다.
낮잠 준비시간에는 손가락을 쥐거나 이불을 손끝으로 만지며 안정을 찾고, 교사가 가까이에서 부드러운 소리를 내어 주면 금세 잠든다.
소리가 나는 장난감이 눈앞에 놓이면 손을 뻗어 잡으려 하고, 잡히면 꽉 쥔 채 흔들며 탐색한다.
딸랑이를 흔들어주면 눈을 크게 뜨고 소리를 따라 움직이며, 장난감을 향해 손을 뻗는다.
바람이 부드럽게 불면 눈을 크게 뜨고 팔다리를 움직이며 반응한다.
기저귀가 불편할 때는 하체를 꼬물거리며 울음으로 신호를 보내고, 교사가 갈아주면 눈을 크게 뜨며 환해진 표정을 짓는다.
사람의 목소리를 들으면 시선을 움직이며, 가까이에서 불러주면 눈을 크게 뜨고 입술을 달싹인다.
울음과 옹알이를 통해 욕구와 감정을 다양하게 표현하고, 감각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교사의 얼굴을 바라보며 웃음을 짓고, 이름을 부르면 짧게 몸을 움직이거나 시선을 돌리는 반응을 보인다.
교사 품에 안기면 안정된 표정을 보이며, 몸을 교사 쪽으로 기댄다.
부드러운 바람이 불면 팔다리를 움직이며 반응하고, 교사가 나뭇잎을 흔들어 보여주면 고개를 따라 움직이며 집중한다.
교사가 흔드는 장난감을 보면 손을 뻗어 잡으려 하고, 잡힌 물체는 오래 쥐며 손가락으로 꼼지락거린다.
딸랑이 소리에 반응해 눈을 크게 뜨고, 소리가 나는 쪽으로 고개를 돌린다.
울음과 옹알이, 미소를 통해 다양한 욕구와 감정을 표현하며, 사회적 반응도 점차 풍부해지고 있다.
앞으로도 안정적인 생활리듬을 바탕으로 다양한 감각자극과 교사와의 따뜻한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배고픔이나 졸림을 단순한 울음으로만 표현하던 1학기와 달리, 손을 뻗거나 몸을 비트는 동작, 시선을 교사에게 집중하는 행동으로 도 요구를 전달한다.
또래 가 장난감을 잡거나 움직이는 것을 보고 따라가며, 옆에서 소리를 내면 손을 뻗거나 웃으며 반응한다.
기어 다니며 바닥의 작은 사물에 손을 뻗어 탐색하는 행동도 자주 보인다.
2학기에 접어들며 기본생활 습관이 안정되고, 자신의 요구를 몸짓과 소리로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대 근육 발달에서는 기기, 서기, 잡고 일어서기 등이 동 능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소근육 발달에서도 작은 사물을 정밀하게 잡는 능력이 성장했다.
수유 전에는 단순히 울음으로 요구하던 것에서 벗어나, 젖병을 바라보거나 교사의 손을 잡아끌며 신호를 표현한다.
소근육 발달도 뚜렷하여, 작은 블록이나 교구를 손끝으로 잡고 한 손에서 다른 손으로 옮기는 동작이 능숙하다.
또래의 울음이나 웃음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몸을 기울여 바라보는 사회적 관심이 뚜렷하다.
음악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박자에 맞춰 몸을 흔들거나 손뼉을 치려는 시도가 나타난다.
수유 전에는 단순히 울기보다는 교사의 얼굴을 바라보거나 손을 내밀어 요구를 표현하고, 젖병을 보며 몸을 기울이며 반가운 표정을 짓는다.
소근육 발달에서는 작은 블록을 잡아한 손에서 다른 손으로 옮기거나 쌓으며, 책장을 손가락으로 집어 넘긴다.
교사, , 반응, 소리, 흔들다, 잡다, , 표현, 발달, 울음, 시선, 안정, 탐색, 근육, 뻗다, 장난감, , 들다, 시도, 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