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간호학 교과서(Fundamentals of Nursing, Potter & Perry 저), SCI급 논문(Journal of Clinical Nursing 등), 그리고 대한간호협회 및 국제 임상 가이드라인(NANDA-I, NIC, NOC)을 바탕으로 철저히 작성되었습니다.
실제 임상 시나리오를 반영한 사례를 통해 간호진단의 정확한 도출부터 목표 설정, 중재 계획, 평가까지 체계적인 간호과정을 상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단순 이론 나열이 아닌, 근거 기반(evidence-based) 접근으로 실무와 학업에서 바로 활용 가능하도록 작성하였습니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는 진단적,치료적,교육적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간호과정 마다 17개씩 작성하였습니다.
간호수행에 대한 중재 내용도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기록하였습니다.
[1] 전신감염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2] 쇼크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3] 혈류 감소와 관련된 쇼크 위험성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계획
-> 이론적근거
2) 치료적 계획
-> 이론적근거
3) 교육적 계획
-> 이론적근거
5. 간호수행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참고문헌>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숨이 너무 차서 깊게 못 쉬겠어요.”
“가슴이 답답하고 뭔가 꽉 막힌 느낌이에요.”
“자꾸 숨을 헐떡거리게 돼요.”
“기운이 하나도 없고, 몸이 축 처져요.”
“말할 때 숨이 차서 말을 길게 못 하겠어요.”
“계속 누워있어도 숨이 편하지가 않아요.”
“갑자기 숨 쉬는 게 무서워질 때가 있어요.”
2) 객관적 자료
- 활력징후상 산소포화도(SpO₂) 88%로 저하되어 있음
- 청진 시 양측 폐에서 크랙클이 들림
- ABGA 검사결과 PaO₂ 60mmHg로 저산소혈증 확인됨
- 호흡수 28회/분으로 빈호흡 양상 보임
- 환자 피부가 창백하고 약간 청색증을 동반함
- 심박수 112회/분으로 빈맥 소견 관찰됨
- 의식상태가 약간 혼돈되어 있으며 자극에 느리게 반응함
- X-ray 검사상 양측 폐야에 침윤 소견 확인됨
중략
5. 간호수행
(1) (3월 21일) 동맥혈 가스분석(ABGA)을 시행하여 대상자의 가스교환 상태를 평가했다.
대상자는 입원 당시 PaO₂가 58mmHg, PaCO₂가 52mmHg로 심한 저산소증과 고탄산혈증을 보였다. SpO₂는 86%로 산소화가 저하된 상태였다. 이를 바탕으로 산소요법을 시작하고, 추가적인 검사를 위해 ABGA를 12시간 후 재검사하기로 하였다. 검사 후, PaO₂는 60mmHg로 소폭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이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산소 공급량을 5L로 조정하고, 환자에게 가스교환 촉진을 위한 체위 변경을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