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PTKOREA 플랫폼 기획 자기소개서

1. 2025 PTKOREA 플랫폼 기획 자기소개서.hwp
2. 2025 PTKOREA 플랫폼 기획 자기소개서.pdf
플랫폼 기획자가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역량은 '사용자 경험을 읽어내는데이터 감각'이었습니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저는 '이탈 전환점'을 기준으로 피드백 메시지를 설계하고, 보상형 루틴 기능을 제안했습니다.
PTKOREA가 타피트니스 플랫폼과 차별화된 점은 무엇이라 생각하나요?
PTKOREA는 단순히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와 의 지속적인 접점을 통해 '운동습관의 일상화'를 유도하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특히 플랫폼 기획에서는 콘텐츠 구성, UX플로우, 데이터 흐름의 연결성이 중요한데, 대학 시절부터 디지털 플랫폼 분석 및 사용자 여정 설계 관련 프로젝트를 지속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홈트족'을 위한 커뮤니티 기반 운동 콘텐츠 서비스를 기획하며, 설문조사와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사람들이 어떤 순간에 '운동을 그만두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했습니다.
이를 위해 유저 유형별 데이터를 분석하고, 운동 루틴과 감정 흐름간의 상관관계를 정교하게 정의하여 맞춤형 여정지도를 설계할 예정입니다.
직접 사용자 2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많은 이들이 '운동이 너무 어렵거나 지루할 때' 이탈한다는 공통점을 발견했습니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저는 '이탈 전환점'을 기준으로 피드백 메시지를 설계하고, 보상형 루틴 기능을 제안했습니다.
이 제안을 도입한 이후 리텐션 수치가 18% 증가했고, 이를 통해 기존 관성적인 해결방식을 벗어나려면 '사용자 중심의 관찰'이 선행돼야 한다는 점을 깊이 체감했습니다.
총 4인의 팀이었고, 저는 데이터 시각화와 UX 구조 설계를 맡았지만, 팀원 간의 역할 충돌이 빈번했습니다.
저는 감정을 앞세우기보다, 중간 중간 비공식 1:1 미팅을 제안했고, 그 자리에서 해당 팀원이 실제로 리서치가 익숙하지 않아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사용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기능과 흐름을 설계하는 직관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운동, 사용자, 플랫폼, 데이터, 기획, 설계, 기반, , ptkorea, 통해, 피드백, 분석, ux, 구조, 기능, 위해, , 유저, 이탈,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