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과정 하나하나 간호계획, 간호수행과 이론적 근거까지 빠진 부분없이 꼼꼼하고 자세하게 정리하였고 간호목표와 평가도 세심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마지막 결론과 향후계획 부분에서는 케이스 핵심에 맞게 잘 결론지었고 마지막엔 참고문헌 첨부해두었습니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는 진단적,치료적,교육적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간호과정 마다 17개씩 작성하였습니다.
간호수행에 대한 중재 내용도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기록하였습니다.
[1] 환청으로 인한 감각 지각 장애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총 17개
1) 진단적 계획
-> 이론적근거
2) 치료적 계획
-> 이론적근거
3) 교육적 계획
-> 이론적근거
5. 간호수행 총 17개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2] 동기결여로 인한 개인위생과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총 17개
1) 진단적 계획
-> 이론적근거
2) 치료적 계획
-> 이론적근거
3) 교육적 계획
-> 이론적근거
5. 간호수행 총 17개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3] 망상과 관련된 사고 과정 장애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총 17개
1) 진단적 계획
-> 이론적근거
2) 치료적 계획
-> 이론적근거
3) 교육적 계획
-> 이론적근거
5. 간호수행 총 17개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참고문헌>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 "저는 자주 들리는 목소리가 있어요. 가끔씩 저를 부르기도 하고, 명령을 내리기도 해요."
- "그 목소리는 종종 제 머릿속에서 울려요.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것 같아요."
- "저는 그 목소리가 사실인지 아닌지 모르겠어요. 너무 자주 들려서 혼란스러워요."
- "제가 혼자 있을 때 그 목소리가 더 크게 들려요. 사람들이 없을 때도 계속 들려요."
- "가끔 그 목소리가 무서워요. 제가 뭔가 잘못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하고요."
- "그 목소리는 제 생각과는 다르게 나를 괴롭히기도 해요. 혼자 있을 때 특히 더 커져요.“
중략
5. 간호수행
(1) (3/29) 대상자와 면담을 통해 환청의 종류와 빈도를 사정하였다. 환자에 의하면, “사람들이 내 이름을 부르고 내게 지시를 내려요. 그것들이 너무 시끄럽고, 혼자 있을 때 더 자주 들려요”라고 언급하였다. 대상자는 하루에 평균 3~4회 환청을 경험하며, 주로 저녁 시간대에 심해진다고 보고했다. 또한, 환청이 들릴 때에는 불안감과 두려움을 느끼며, 이를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모른다고 했다. 이로 인해 대상자는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을 겪고 있었고, 자주 혼자 있을 때 환청이 강하게 들려 공포를 유발한다고 표현하였다.
김은정, 조현병 환자의 정신사회적 치료와 간호 중재. 대한간호학회지.
박수영, 조현병 환자의 환각 증상 관리에 대한 간호중재 연구. 정신건강간호학회지.
이수정, 조현병 환자의 약물 치료와 간호사의 역할. 한국정신건강학회지.
김유진, 환각 및 망상 증상을 가진 조현병 환자에 대한 간호 중재의 효과. 한국정신간호학회지.
오현정, 조현병 환자의 재활과 자아 존중감을 증진하기 위한 간호중재. 대한간호학회지.
김영숙, 김은숙. "조현병 환자의 자가간호결핍에 대한 간호 중재." 한국정신간호학회지.
박순애, 이은희. "조현병 환자의 동기결여와 자가간호에 대한 이해." 간호과학연구.
이경희, 장은주. "정신질환자의 개인위생 관리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정신건강간호학회지.
김수진, 박현정. "조현병 환자의 자가간호와 간호 중재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김민정, 박수정. 조현병 환자의 망상 증상에 대한 간호중재. 정신건강간호학회지.
최미경, 이정은. 조현병 대상자의 인지행동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정신건강간호학회지.
송미경, 김영화. 조현병 환자의 약물 치료에 대한 간호사의 역할. 간호과학논문집.
김소영, 유은경. 조현병 대상자의 정신적 안정감 회복을 위한 간호중재. 한국정신보건간호학회지.
이진희, 한정희. 조현병 환자의 사고 과정 장애에 대한 간호학적 접근. 한국간호학회지.
조현병 간호과정과 간호진단 케이스 및 조현병 증상,유형 및 치료법 조현병 간호과정과 간호진단 케이스 및 조현병 증상,유형 및 치료법 연구 보고서 입니다.
정말 열심히 만들었습니다.
믿고 다운 받아주세요 !!
1. 조현병 정의
2. 조현병 발생원인
3. 조현병 주요증상
4.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