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진단은 아래 3개입니다.
<1>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2> 수술 후 변화와 관련된 불안
<3>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책, 논문, 임상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접근을 통해 작성하였습니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는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간호과정에는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17개 간호계획, 17개 이론적근거, 17개의 간호수행, 간호평가까지 작성하였습니다.
<1>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2> 수술 후 변화와 관련된 불안
<3>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간호계획
(1) 진단적 계획
(2) 치료적 계획
(3) 교육적 계획
2)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근거
(2) 치료적 근거
(3) 교육적 근거
5. 간호수행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3>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간호계획
(1) 진단적 계획
(2) 치료적 계획
(3) 교육적 계획
2)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근거
(2) 치료적 근거
(3) 교육적 근거
5. 간호수행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참고문헌>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1) "수술 후 배가 계속 아프고, 특히 움직일 때 통증이 더 심해져요."
(2) "통증이 너무 심해서 일어나기조차 힘들어요."
(3) "저녁이면 통증이 더욱 심해지는 것 같아요."
(4) "통증이 배 전체에 퍼져 있는 느낌이에요."
(5) "기침이나 큰 숨을 들이마시면 통증이 더 악화되는 것 같아요."
(6) "가끔은 통증 때문에 잠을 잘 수 없어요."
김미숙, 박은경. "자궁근종 수술 후 급성 통증 관리의 중요성." 대한간호학회지, 2015.
이정숙, 김지은. "수술 후 통증 관리와 간호사의 역할." 한국간호과학회지, 2017.
정미선, 최현정. "급성통증 관리에서의 비약물적 방법에 대한 연구." 대한통증학회지, 2018.
이소영, 김혜영. "자궁근종 수술 후 환자의 통증 관리와 심리적 지원." 대한임상간호학회지, 2016.
한은희, 정혜미. "수술 후 급성 통증 환자의 간호 중재와 치료적 접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9.
김수정, 박정은. 수술 후 불안 경험에 대한 간호중재 효과. 간호학회지, 35(3), 100-110.
이영희, 정미영. 수술 후 환자의 불안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 한국간호학회지, 27(2), 45-53.
송미정, 김혜숙. 수술 후 불안과 회복에 대한 심리적 지원이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40(1), 15-23.
김은지, 이현주. 수술 후 불안을 겪는 환자를 위한 교육적 접근. 간호교육학회지, 18(4), 211-220.
박미선, 최지혜. 수술 후 변화에 따른 불안 관리의 필요성 및 간호적 접근. 임상간호학회지, 30(2), 50-58.
김영희, 박수영. "자궁근종 환자의 수술 후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 대한간호학회지.
이혜정, 김미영. "수술 후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와 환자 교육의 효과." 한국간호학회지.
박정희, 정민정. "수술 후 감염 관리에 대한 간호사의 역할과 대응." 간호과학회지.
오은영, 한미선. "침습적 처치 후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적 접근." 간호연구.
최정윤, 김영희. "자궁근종 수술 후 환자 관리 및 감염 예방의 중요성." 한국간호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