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진단은 아래 3개입니다.
<1> 부동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2> 피부조직의 손상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3> 통증과 관련된 불안
책, 논문, 임상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접근을 통해 작성하였습니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는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간호과정에는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17개 간호계획, 17개 이론적근거, 17개의 간호수행, 간호평가까지 작성하였습니다.
<1> 부동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2> 피부조직의 손상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3> 통증과 관련된 불안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계획 5개
-> 이론적근거 5개
2) 치료적 계획 9개
-> 이론적근거 9개
3) 교육적 계획 3개
-> 이론적근거 3개
5. 간호수행 17개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1) "병원에 오기 전에 몇 달 동안 누워서 지내는 시간이 많았어요."
(2) "앉아 있을 때 엉덩이가 많이 아파요."
(3) "요즘에는 피부가 많이 간지럽고 따갑네요."
(4) "어떤 쪽을 눕든지 계속 불편해서 잠을 잘 못 자요."
(5) "저는 몸을 잘 움직이지 못해서 피부가 빨갛고, 나중에는 상처가 나기도 해요."
(6) "간호사님, 피부가 아프다고 말씀드려도 별로 나아지는 느낌은 없어요."
중략
5. 간호수행
(1) 체위 변경 및 피부 상태 점검
환자의 체위를 2시간마다 변경하고, 고위험 부위에 대한 피부 상태를 면밀히 점검하였다. 대상자는 침상에 장시간 누워 있었고, 엉덩이와 발꿈치 부위에 압력이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이러한 부위에 대해 특히 신경을 썼다. 3일 전(3/18)부터 하루 2회, 체위 변경을 진행하며 피부를 점검한 결과, 엉덩이 부위에 초기 피부 자극(붉어짐)이 관찰되었고, 이에 즉시 압력 분산을 위한 조치를 취하였다. 추가로, 발꿈치 부위에는 아직 피부 변형이나 자극은 없었으며, 계속적으로 상태를 모니터링하였다.
- 김영희, 박지현. 욕창 예방과 간호중재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 이순영, 김경희. 욕창 예방을 위한 체위 변경의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정미선, 조은영. 욕창 예방을 위한 영양 관리의 중요성. 간호과학회지.
- 김지영, 박민숙. 피부 보호제를 사용한 욕창 예방 효과. 임상간호학회지.
- 한수경, 이정은. 욕창 예방을 위한 수분 관리와 피부 보호 전략. 한국간호학회지.
- 김미정, 김혜영. 피부 손상과 관련된 간호 중재에 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 이선영, 정혜영. 욕창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 및 관리 방안. 한국간호학회지.
- 박지은, 김지영. 욕창 예방을 위한 체위 변경의 중요성과 그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 윤지혜, 오세희. 욕창 치료와 관련된 최신 간호 중재에 대한 고찰. 한국병원간호학회지.
- 최지은, 임소희. 욕창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간호과학회지.
- 김영주, 김지연. "욕창 예방 및 관리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실천 정도." 간호학회지
- 이영희, 박수진. "욕창 치료를 위한 간호 중재 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노인의료간호학회지
- 박은경, 김희정. "욕창 예방을 위한 자세 변경 교육이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
- 정미영, 한상희. "욕창 치료에서의 드레싱 방법의 효과 분석." 대한정형외과간호학회지
- 최지연, 박선영. "욕창 발생 환자의 심리적 지원이 치료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