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지도 단계에서의 수업매체는 교수에 보조가 되는 자료와 학습에 보조가 되는 자료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표> 교수 매체와 성인 학습 방법
교수-학습 과정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면 교수 매체의 활용 범위나 내용은 더욱 명확해진다.
학습지도 단계에서의 수업매체는 교수에 보조가 되는 자료와 학습에 보조가 되는 자료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이에 필요한 교수 매체는 무엇보다 교사의 교수활동과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분석하여 활동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가장 알맞은 보조자료를 구안해 나가야 할 것이다.
교수 매체를 학습지도 단계에서 활용하기 위한 원칙과 절차에는 대체로 다음의 두 가지가 있다.
교수-학습 과정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면 교수 매체의 활용 범위나 내용은 더욱 명확해진다.
위와 같이 학습활동의 주요 단계에 따라 그 활동에 적합하거나 그 활동을 촉발하고 촉진시킬 수 있는 교수 매체를 고안하고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어야겠다.
교수 매체는 의도한 수업 목표를 성취시키는 데 가장 적합한 것이 어느 것인가를 고려하여 선정해야 하고 또한 경제성도 고려되어야 하며 교수-학습과제, 주어진 여건, 학습자의 수준, 전달매체 혹은 전달 방법 등 제 요인을 분석하고 상호 관련적인 입장에서 최적의 시기에 알맞은 매체를 활용해야 한다.
교수 매체 활용자로서의 교사는 매체의 활용 및 교수 자료의 제시를 포함하여 효과적으로 교수 자료를 활용하기 위해 다음 내용을 고려해야 한다.
교사부연구자료장세면15 정부자료입니다.
영상매체를 활용한
보훈교육 교수-학습 지도방안
- 중학교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을 중심으로 -
장세면 천안 북중학교(가작)
제1장 서론/ 459
제2장 영상매체를 활용한 학습지도의 이론적 ..
교수매체의 개념과 기능 및 분류, 필요성, 교수매체 선택모형 교수매체의 개념과 기능 및 분류, 필요성, 교수매체 선택모형
목차
* 교수매체
Ⅰ. 개념
Ⅱ. 교수매체의 기능
1. 매개적 보조 기능
2. 정보전달 기능
3. 학습경험 구성 기능
4. 교수 기능
Ⅲ. 교수매체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