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도의 종류] 평정척도, 총화평정척도(리커트척도), 서스톤척도, 어의차척도, 사회적 거리척도(보가더스척도), 거트만척도(누적척도)

1. [척도의 종류] 평정척도, 총화평정척도.hwp
2. [척도의 종류] 평정척도, 총화평정척도.pdf
평정척도
총화 평정척도 : 리커트 척도
서스톤 척도
사회적 거리척도 : 보가 더스척도
위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사회적 거리 척도를 구성할 때 다음과 같이 사항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개별 문항이 서열적으로 강도에 의한 응답으로 이미 구성되어 있으므로 쉽게 척도화가 가능하므로 사용이 간편하다.
척도의 종류] 평정 척도, 총화 평정척도(리커트 척도), 서스톤 척도, 어의 차척도, 사회적 거리 척도(보가 더스척도), 거트만 척도(누적 척도)
평정척도
총화 평정척도 : 리커트 척도
현재 쓰이는 척도의 종류로는 평정척도, 총화 평정척도, 서스톤 척도, 어의 차이 척도, 사회적 거리 척도, 거트만 척도 등이 있으며 각각의 척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정척도의 종류로는 그림을 통해 평가하는 그림평정법, 여러 범주로 나누어진 문항에 비슷한 항목을 고르도록 하는 문항 평정법, 기존에 사용된 척도 비교하는 비교평정법, 응답자 스스로가 평가하기 위한 자아평정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서스톤 척도는 연구하려는 개념을 여러 개의 문항들을 만들어 각 문항별로 순서의 위계를 정해 단계별로 나눈 후 그 중 평가자들에 의해 가장 높게 평가된 문항만을 뽑아 척도를 구성해 가는 방법이다.
즉, 문항의 구성을 친밀함의 정도가 먼 것으로부터 점차 가깝게 느낄 수 있는 강도의 차이를 순서로 배열시켜 측정하는 방법으로 <아래의 표>에서와 같이 각 집단을 7개의 척도로 나누고 각 속성별로 사회적 거리라는 연속상의 순서에 의해 응답하도록 놓여져 있다.
표>인종 또는 민족에 대한 사회심리적 거리감 측정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행정 실무 : 이세형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 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척도, 문항, 응답, 사회, 평가, 평정, 측정, 구성, 거리, 사용, 평가자, 둘째, 대한, 방법, 의하다, 첫째, , 정법, 순서, 스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