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도의 종류] 명목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

1. [척도의 종류] 명목척도, 서열척도, 등.hwp
2. [척도의 종류] 명목척도, 서열척도, 등.pdf
척도의 종류] 명목 척도, 서열 척도, 등 간척도, 비율 척도
명목 척도, 서열 척도, 등 간척도, 비율 척도
그리고 이러한 서열 척도에 의해 측정되는 변수를 서열 변수(ord inalscale)라고 한다.
비율 측정(ratiomeasurement)은 측정 대상의 특징이나 속성에 현실과 일치하는 절대 영점을 가진 척도를 가지고 수치를 부여하는 일이다.
사회복지의 이해: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명목 측정(nominalmeasurement)은 측정 대상을 단순히 분류하거나 확인할 목적으로 측정 대상의 속성에 부호나 수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는 가장 낮은 수준의 측정으로서, 이러한 수준을 측정하는 측정도구를 명목 척도(nominalscale), 그리고 명목 척도에 의해 측정되는 변수를 명목 변수(nominal variable)라고 한다.
서열측정(ord inalmeasurement)은 측정 대상을 그 속성에 따라서 열이나 순위를 매길 수 있도록 수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들 서열 척도는 범주 속에 있는 대상의 특성을 정도에 따라 표현하고 대상 간의 순위를 정할 수 있지만, 응답 범주간의 동일한 거리를 가정하지 않고 절대량의 크기를 나타내지 않아 수량 적 측정 가운데 낮은 단계의 척도에 속한다.
등간 측정(intervalmeasurement)은 측정 대상을 특징이나 속성에 따라서열화하는 것은 물론, 서열간의 간격을 동일하도록 수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순위 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척도를 등 간척도(intervalscale), 그리고 이척도에 의해 측정되는 변수를 등간 변수(intervalv ariable)라고 한다.
그러나 등 간척도에는 측정 대상의 속성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절대적 영점(absolutezero)이나 자연적 영점(naturalzero)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대상의 속성이 존재하지 않는 영점의 위치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측정치가 다른 측정치보다 몇 배 많다거나 적다고 말할 수 없다.
이러한 측정에 사용되는 비율 척도(ratioscale)는 등 간척도의 성격을 모두 가지면서 절대 영점 또는 자연 영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덧셈, 뺄 셈뿐만 아니라 곱셈과 나눗셈을 포함한 모든 사칙연산이 가능하다.
이러한 절대 영점의 존재는 비율 척도와 등 간척도 간의 유일한 차이점이다.
척도, 측정, 대상, 속성, 비율, 명목, 사회, 서열, 복지, 통계, 따르다, 변수, 분석, 자료, 의하다, 영점, 간격, , 범주,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