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체장애] 신경성 증후군(뇌성마비, 진행성 근위축증, 척수성 소아마비)

1. [지체장애] 신경성 증후군(뇌성마비, .hwp
2. [지체장애] 신경성 증후군(뇌성마비, .pdf
지체 장애] 신경성 증후군(뇌성마비, 진행성 근위축증, 척수성 소아마비)
II. 진행성 근위축증
II. 진행성 근위축증(musculardystrophy)
생애 초기에 소아마비를 가진 어떤 사람들은 소아마비 후에 근육 위축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인간 발달/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교문사/2016
지체 장애] 신경성 증후군(뇌성마비, 진행성 근위축증, 척수성 소아마비)
뇌성마비는 수태부터 생후 1개월까지의 신생아기에 뇌손상으로 비진행성병변이 발생하고, 그 결과 지체의 수의운동장애, 운동기능 마비, 자세 이상 등의 신경성 운동 기능장애를 초래한다.
근위축증후의 종류는 다양하며, 유전성향과 임상 양상에 따라 듀센형, 베커형, 안면 견갑상완형, 지대형, 위축성 근경직형의 5개 유형으로 구분한다
임상에서 그 양상의 경중에 따라 듀센형 및 베커형으로 나누는데, 듀센형의 경우 초기 운동 발달이 느려 18개월까지 독립보행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베커형의 경우는 6-19세에 주로 나타나며, 하지의 근력 약화뿐 아니라 종아리 근육의 통증, 근경련 등이 일어난다.
베커형은 듀센형에 비해 느리고 다양하게 나타난다.
엉덩이와 어깨 근육에서 위축이 나타나는 다른 근위축증과는 달리 목에 제일 처음 위축이 나타나며 얼굴, 다리, 팔, 손 등에 나타난다.
진행 초기에 안면과 턱, 목 근육의 약화 및 퇴화가 나타나며, 남자의 경우 이마 앞쪽이 벗겨지는 특징을 보인다.
소아마비는 바이러스의 원인을 파생시키는 백신이 발달하기 전에는 공공질병이었다.
인간 발달/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교문사/2016
위축, 근육, , 나타나다, , 진행, , 운동, 소아마비, 장애, 되어다, 마비, 뇌성마비, 듀센형, 약화, 경우, 초기, 섬유, 괴사, 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