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체계 이론
이 이론에서의 핵심 주제는 가족과 전체 사회와의 관계 그리고 가족과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이다.
또한 이것은 가족 구성원이나 사회의 변화에 따라 수정되며 그 과정에서 가족의 안정성이나 갈등도 분석된다.
미시적인 차원에서 개인, 가족, 사회현상을 분석하는 이론이다.
가족체계 이론은 모든 가족이 사회적 체계라는 사고에 근거하는데, 이러한 관점은 개인의 탓으로 돌려져 왔던 문제를 관계와 사회적 상호작용이라는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흔히 가족기능을 언급할 때, 가족은 개별 구성원의 인성을 형성시켜주며 기본적 지위를 할당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사회에 대해서는 사회 구성원을 재생산하여 사회통제기관으로서 기능한다고 하는데, 이것은 구조기능주의 시각에서 가족과 사회, 그리고 가족과 개인의 관계를 고찰한 것이다.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은 인간 행동은 인간 상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결정되고 설명될 수 있으며, 가족 간의 상호작용 유형에 관심으로 갖는 미시적 접근으로 가족을 바라보고자 하는 이론이다.
가족의 역할 구조는 가족의 상호작용 과 정 속에서 발생하며 이것이 모든 가족 구성원의 행동을 규정하고 외부 사회체계와 의 상호작용도 규정한다.
또한 이것은 가족 구성원이나 사회의 변화에 따라 수정되며 그 과정에서 가족의 안정성이나 갈등도 분석된다.
1960년대 후반부터 가족연구에 적용되기 시작한 교환 이론은 1970년대 이후 중요한 개념틀로 부상되었다.가족 구성원 간의 교환은 부부관계, 부모-자녀관계를 기점으로 하여 광역사회와의 관계로 확대된다.
부부관계에서는 배우자 선택에서 교환 개념이 시작되어 부부 권력, 의사소통, 결혼의 안정성, 성 역할, 성행동, 가정폭력 등에 적용되고 있다.
부모-자녀관계에서는 물질적 보상을 더욱 추구해 가는 산업사회에서 취업모문제, 세대 간 유사성이나 동일성이 보상적 관계 에미치는 영향, 사회계층별 부모행동이나 가치관에서의 비용 개념 등이 교환 이론과 연관된다.
또한 갈등이론에서는 가족 갈등이 처리되는 과정이 중요하므로 부부관계나 부모-자녀 관계 등에서 자원과 권위의 독특한 특성이 파악되고 존중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가족체계 이론은 가족 개인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전체로서의 가족을 강조하는 것으로, 가족에 대한 체계 이론적 관점을 적용한 이론이다.가족체계 이론은 가족에 대한 핵심 개념 틀을 제공하고 있으며, 가족을 개인이 아닌 전체 가족의 맥락에서 접근한다는 점에서 그 유용성을 인정받고 있다.가족체계 접근방법은 거의 모든 가족연구의 기초가 된다.
가족체계 이론은 모든 가족이 사회적 체계라는 사고에 근거하는데, 이러한 관점은 개인의 탓으로 돌려져 왔던 문제를 관계와 사회적 상호작용이라는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