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에 외래문화가 대대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것은 조선 말(1876년) 강화도 조약을 그 시발점으로 볼 수 있다.
1910년 한일합방 이후 일본은 3․1운동을 계기로 식민통치 방식을 무단통치에서 문화정치로 바꾸게 되었으며, 이 때 문화정책이라는 명목으로 서양문물과 문화가 비판 없이 무차별하게 유입되었다. 이에 따라 전통의 고수와 외래문화의 수용이라는 상충적인 갈등이 확대되는 가운데 우리의 근대무용, 신무용은 전개되었다.
우리나라에 신무용이 처음 소개된 것은 1926년 3월 일본 든대무용의 선구자라고 불리웠던 이시이바쿠의 내한공연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 제국극장 오페라단 제1기생으로 무용에 첫발을 딛은 이래 1922년부터 1925년까지 유럽 유학을 다녀온 이시이 바쿠의 무용은 당시 새로운 형태의 신흥무용으로서, 신무용이라는 용어로 불리기도 하였다.
이시이 바쿠는 초창기에는 서양의 현대 춤을 추었지만 이후 일본 전통무용을 익혀 전통을 가미한 새로운 형태의 독특한 무용 양식을 창출하였다. 우리나라에는 1926년 처음 공연을 가진 이래 두 차례에 걸쳐 그의 무용세계를 소개한 바 있다.
그의 대표작 중의 하나인 ‘수인(囚人)’은 자유를 빼앗긴 것에 대한 분노와 번민을 다룬 작품으로 전위적 성격으로 주목을 끌었으며 작품 ‘실념(失念)’에서는 조선을 상징하는 흰 옷의 무대의상을 입고 독무로 출현하여 강한 인상을 남기기도 하였다.
이시이 바쿠의 서울공연은 다음의 몇가지 측면에서 한국 근대무용의 전기를 가져다 준 하나의 사건이었다.
첫째, 용어상에 있어 무도(舞蹈)라고 불리던 것에서 무용(舞踊)이라는 새로운 용어로 대체된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서구식 극장무대에 창작무용의 등장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다. 셋째, 익명의 춤꾼에서 무대 예술가로서의 의식의 생성을 들 수 있다. 넷째, 동양적 춤 교류에서 본격 서양춤이 유입되었다는 점이다.
2. 신무용의 개념
*신무용의 개념을 무용학자들의 견해를 통해 살
....
[무용 레포트] 신무용에 대해서 목차
Ⅰ. 신무용사
1. 신무용이란
2. 신무용의 의미
3. 창작무용과 신무용의 차이점
Ⅱ. 인물
1. 최승희
2. 조택원
3. 김백봉
Ⅲ.결론
*참고자료
편집부/시공사- 한국 현대 예술사 대계
이애순/국학자료..
한국무용의이해 한성준 (1874 ˜ 1942)
사사북의 고수이고 무용인으로서 상세하게 알려진 스승은 없음
대표작품
* 한영숙, 강선영에 의해 작품이 알려짐
- 승무 태평무, 학춤, 살풀이 외 다수
* 최승희 신무용에 전통무용의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