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교실학습은 하나의 교류과정이다. 교실에서 경험한 학습방법은 교사가 가르치는 것에만 달려있는 것이 아니라 학급동료, 교사와의 상호작용에도 매우 중요하다. 학교사회복지사의 교실에 대한 관찰은 관찰목적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교실 관찰 시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된다.
1/ 인구론적 정보 : 학생의 학년, 번호, 나이, 학업수준, 성, 문화, 장애요인, 교사의 나이 등
2/ 교육프로그램 : 수업준비도, 가르치는 양식 등
3/ 교실 내의 환경과 구조 : 교실크기, 통풍과 채광, 환경정리, 화장실의 위치와 청결정도, 책의 질과 양, 책상과 의자, 지도, 여타 교채도구 등
4/ 교실 내외의 상호작용 : 교사와 학생, 학생 간, 교사와 부모 간의 상호작용, 교실규정, 지도의 형태, 의사소통형태 등
둘째, 학교사회복지사는 가족에 관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서 인테이크 면접, 가족 전체를 대상으로 가족면접을 활용하거나 가정방문의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
수집한 자료가 중재를 위한사정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가족성원의 이름과 생년월일, 사망과 결혼날짜, 종교, 교육정도 등의 일반적인 정보와 체계적이고 역동적인 가족에 대한 정보가 요구된다.
셋째, 학교사회복지사에게 의뢰된 개별학생에 관한 정보는 객관적인 자료나 수혜자의 주관적인 사실에 관한 인식과 파악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사 자료는 학생 수혜자의 자기 보고, 부수적인 자료원을 통해서 필요한 정보를 다음과 같이 수집할 수 있다.
1/ 학생수혜자의 자기 보고 : 학교사회복지사는 조사에 있어서 일차적인 자료원이 학생수혜자 자신이라는 것을 기본원칙으로 삼아야 된다. 학생수혜자 자신의 진술과 태도나 행동을 학교사회복지사가 직접 관찰, 도표 일지, 일기, 문제 목록화 등을 활용하여 수집하는 자료이다.
2/ 부수적인 자료원 : 학생수혜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교사, 임상심리학자, 의사, 간호사, 다른 기관의 사회사업가, 친척, 친구, 동료 등과의 면담, 성격검사의 조사도구를 활용해서 자료를 수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