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에 다룬 청소년 일탈이론(접촉차이론, 낙인이론 등) 중 1-2개를 적용하여 간략히 설명해 보세요에 대한 레포트 자료.
청소년기에 다룬 청소년 일탈이론(접촉차이론, 낙인이론 등) 중 1-2개를 적용하여 간략히 설명해 보세요.
낙인이론이란 어떤 비행행위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낙인이 찍히게 되고 그것이 개인에게 주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시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일탈행위에 대한 사회적 반응에 초점을 둔다.
어떤 청소년이 지역사회 안에서 일단 문제아로 낙인찍히게 되면 그 소년은 우연히
저지른 특정 행위로 인하여 그 이후의 모든 행위뿐 아니라 전체 인격까지도 의심받게 되고, 늘 비행청소년으로 취급받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한 번 낙인과정에 휩싸이게 된 청소년은 다시 정상적 위치로 복귀하기가 어렵다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다.
낙인이론은 비행을 규정하는 규범 및 규범의 제정절차와 방법에 대한 의문과 어떤 사람이 비행자로 낙인 되었을 때 그 결과가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이에 사회적으로 불리한 계층은 범법자라는 낙인이 책혀도 이를 거역할 능력이 없으므로 주로 이러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일탈자의 낙인이 책히며 이런 낙인이 책힌 사람들은 그의 여러 지위 중에서 비행적 요소가 대표로 지각되어 후속비행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낙인이론은 범죄와 비행과정 안에서 상대적 입장과 관심을 두고 있다. 이들은 일탈행위에 대해 그 행위 자체가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기보다는 타인들의 오명 씌우는 것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레머트(Lemert)는 비행자로서의 꼬리표가 어떠한 결과를 낳는지 관심을 가겼고 그것을 1차적 일탈과 2차적 일탈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1차적 일탈은 누구나 우연한 기회에 저지를 수 있는 사소한 일탈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 행동이 일탈로, 당사자가 일탈자로 낙인이 책히게 되면 보다 심각한 수준의 일탈을 저지르게 되는데 이처럼 낙인으로 있게 되는 보다 심각한 수준을 2차적 일탈이라고 하였다.
낙인이론은 1차적 일탈이 2차적 일탈로 전환되는 낙인과정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고 사회적 규범이 낙인과 일탈자에게 미치는 사회 ․ 심리적 영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낙인이론가들은 비행을 지속적으로 하는 사람에 관심을 두는데, 베커(Becker)는 일탈자라는 낙인은 하나의 사회적 지위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며, 개인이 가지고 있는 여러 지위 중 주 지위가 된다고 주장한다. 베커는 특정 행위를 일탈행동이라고 규정하거나 낙인찍어버리면 그 행동을 한 사람은 일탈행위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