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적 절대주의(Ethical Absolutism)는 선과 악, 옳고 그름을 행위 결과와 상관 없이 별개로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는 고정불변의 도덕률을 강조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윤리적 절대주의는 이미 정해진 고정불변의 도덕률을 강조하는 것으로, 선과 악, 옳고 그름은 그 행위의 결과와는 별개로 판단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말하는 도덕률은 모든 상황에서 절대적으로 적용된다는 것을 전제한다.
이렇게 적용되는 도덕규범의 절대성은 두 가지 특성이 있다. 하나는 윤리적 보편주의'서의 윤리적 절대성이다. 도덕규범은 범문화적 추리방법으로 확립될 수 있는 근거 위에서만 정당화될 수 있으므로 이런 규범은 모든 인간의 행위에 올바르게 적용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도덕규범 외의 어떠한 예외도 갖지 않으며 개별적인 도덕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도덕적 의무론으로서의 윤리적 절대성이다.
2. 윤리적 상대주의
반면에 윤리적 상대주의(Ethical Relativism)는 선과 악, 옳고 그름은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것으로 절대 가치는 없다는 것이다.
어떠한 도덕률도 부인한다. 이처럼 모든 고정불변의 도덕률을 부인하면서 동기보다 행동으로 초래된 결과를 중시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가치변화의 지속성이다. 모든 가치는 계속 변한다.
어제의 가치기준을 오늘에 적용할 수는 없다. 결과적으로 가치문제에서 상대주의는 불가피하다. 절대적인 기준을 가진 보편적이면서 불변하는 기본 가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단지 어떤 행위의 결과가 얼마나 옳고 얼마나 선한가 하는 정도에 따라 판단 및 결과의 기준이 정해질 뿐이다. 더욱이 변화무쌍한 현대사회에서 비록 동시대에 같은 문화권에 있더라도 윤리적 보편화를 기대한다는 것은 시대에 뒤떨어지는 일이라고 윤리적 상대주의는 주장한다.
하지만 윤리적 상대주의에도 제한점이 있다. 이러한 제한점
...
윤리적 상대주의 윤리적 상대주의
윤리적 상대주의는 도덕과 비도덕을 가리는 초문화적 ․ 초객관적 기준이란 있을 수 없으며, 도덕이 개인이나 문화에 따라 상대적이라고 주장한다. 인간의 같은 행위일지라도 어떤 사람에게는 그..
윤리적 상대주의 윤리적 상대주의
도덕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을 윤리학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어떤 행위가 옳은 행위이며, 어떤 결정이 올바른 결정이라고 설명하는 것은 윤리학의 과제가 된다.
이를 위해서는 도덕적 판단이나 ..
도덕적 경험에 대한 칸트의 설명 Stephan Koerner KANT
(1955,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제6장. 도덕적 경험에 대한 칸트의 설명
1. 실천 이성의 개념
도덕적 의무와 도덕적 갈등의 경험을 반성해 보면 도덕적 경험이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