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적 상대주의(ethical relativism)는 어떤 종류의 정해진 도덕률도 부인한다. 선과 악이나 옳고 그름도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것이라고 보며 절대적인 가치란 없다고 말한다. 철학자로는 고대 그리스의 프로타고라스와 근대에 와서는 스펜서, 콩트 같은 실증주의자들에 의해 정리되었다.
프라타고라스는 "인간은 만물의 척도"라고 하면서 가치판단에 대한 상대주의를 표방했다. 스펜서도 이성은 단지 상대적인 것을 인식할 수 있을 뿐이라고 하면서 사물의 본질이나 절대적인 것은 인식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콩트는 과학은 경험적인 사실이나 현상에 의한 표사이기 때문에 그것만이 확실한 것이라고 생각하여 사물이나 현상의 본질은 불문에 붙여져야 하며 산출된 결과와 상황만이 분석대상으로 고려된다고 하였다.
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도덕철학도 과학철학의 영향을 받게 되었기 때문에 위의 논리를 도덕철학에 적용시키면 원인보다는 결과의 옳고 그름에 의해 행동 여부가 판단된다고 할 수 있다.
윤리적 상대주의는 고정불변의 절대적인 가치는 부인하면서 행동의 동기보다는 행동의 결과를 중시하게 된다.
모든 가치는 계속 변화하고 있다. 어제의 가치기준을 오늘에 적용할 수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가치문제에 있어서는 상대주의가 불가피하게 된다. 절대적인 기준을 가진 보편적이면서 불변하는 기본가치는 존재하지 않으며, 단지 어떤 행위의 결과가 얼마나 옳고 얼마나 선한가의 정도에 따라 판단과 결과의 기준이 정해진다.
오늘날과 같은 시대는 문화적인 특수성과 다원화를 바람직한 가치체계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비록 동시대에 같은 문화권에 있다 하더라고 윤리적인 보편화를 기대한다는 것은 시대에 뒤떨어지는 일이기 때문에 윤리적 상대주의가 바람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이론의 제한점은 그 윤리관을 적용하는 범위에 있다.
문화적 특수성과 다원화를 인정할 때 그 고유한 문화권의 경계를 규정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문화권의 경계를 한 인종, 종족, 국가로부터 한 지방, 가족, 개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하위문화가 있고 문화에 따라 가치체계 및 윤리관의 적용폭도 다양하다.
만약 하위문화권의 단위를 극단까지 좁힌다면 윤리적 상대주의
...
윤리적 절대주의 윤리적 절대주의
윤리적 절대주의는 시대와 장소를 초월하여 만인에게 보편타당한 어떤 도덕적 규범이 존재한다는 주장을 말한다.
이 입장을 옹호하는 사람 대부분이 제시하는 근거는 보편타당한 삶의 원리는 선..
윤리적 절대주의 윤리적 절대주의
윤리적 절대주의는 시대와 장소를 초월하여 만인에게 보편타당한 어떤 도덕적 규범이 존재한다는 주장으로 대체로 이 입장을 옹호하는 사람들이 제시하는 근거는 보편타당한 삶의 원리는 선천적..
윤리적 상대주의 윤리적 상대주의
윤리적 상대주의는 도덕과 비도덕을 가리는 초문화적 ․ 초객관적 기준이란 있을 수 없으며, 도덕이 개인이나 문화에 따라 상대적이라고 주장한다. 인간의 같은 행위일지라도 어떤 사람에게는 그..
윤리적 상대주의 윤리적 상대주의
도덕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을 윤리학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어떤 행위가 옳은 행위이며, 어떤 결정이 올바른 결정이라고 설명하는 것은 윤리학의 과제가 된다.
이를 위해서는 도덕적 판단이나 ..
도덕적 경험에 대한 칸트의 설명 Stephan Koerner KANT
(1955,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제6장. 도덕적 경험에 대한 칸트의 설명
1. 실천 이성의 개념
도덕적 의무와 도덕적 갈등의 경험을 반성해 보면 도덕적 경험이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