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정책발달이론] 기술결정론 - 수렴이론

1. [사회복지정책발달이론] 기술결정론 - .hwp
2. [사회복지정책발달이론] 기술결정론 - .pdf
[사회복지정책발달이론] 기술결정론 - 수렴이론
[사회복지정책발달이론] 기술결정론 - 수렴이론

기술결정론(Technological determinism)은 말 그대로 기술이 사회복지정책 발달을 좌우한다는 주장이다. 사회복지 발달 수준은 사회적 양심과 같은 윤리나 이념이나 시민권론과 같이 법적 ․ 정치적 권리도 아니라. 산업화의 정도, 경제성장의 수준 등과 같은 요인이 결정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치 경제적 사회체제가 다를지라도, 산업화나 경제성장의 정도가유사하면, 사회복지 발달의 수준도 비슷하다는 뜻에서 수렴 이론(Convergency theory)이라고도 불리어진다. 또 어떤 면에서는 '이념의 종말', '체제의 종언'이라고도 한다.
캐리어와 캔달(Carrier & Kendall)에 의해 기술결정론이라고 불리는 이 이론은 사회정책의 변화를 조직적 분석의 맥락에서 조명하고 있다. 이 주장의 기본 가정은 개인 활동의 수단인 테크놀로지에 관한 지식을 기초로 해서 인간행위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으로서 사회정책의 변화를 테크놀로지 특히 사회행정 및 사회사업기술의 발달과 같은 비사회적(nonsocial)인 힘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윌렌스키와 르보(Wilensky & Lebeau)는 각종 복지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공 ․ 사립 사회기관과 사회사업 전문직을 산업사회 내에서의 주요 조직 형태로 간주하면서 이러한 조직의 전문성을 통해 복지서비스의 특성이 결정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물론 보다 거시적으로 보면 전통사회에서 산업사회에로 변화하는 과정에 가족구조, 연령구조, 도시화 등 모든 사회구조 및 사회체제가 사회복지를 요청하게 되는 독립변수로 작용하게 되어 사회복지정책과 제도가 발달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이념의 영향력이 약화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미국의 사회를 사례로 분석한 윌렌스키와 르보의 연구는 결국 잔여적 사회복지 모형에서 점차적으로 제도적 사회복지 모형으로 변화하게 되는 경향을 발견하는데, 이는 사회체제를 넘어 점진적으로 수렴하는 사회복지정책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수용될 수 있다.
기술결정론은 사회적 양심 이론이나 시민권론에 비하여 사회정책의 범위에 직업복지나 기업복지 등 다양한 사회복지 영역을 포괄한다는 점에서 한층 일반화의 폭을 넓히는 데 기존 이론에 비하여 장점을 가진다.
둘째는 기술결정론은 선진 서구사회에 한정되었던 사회복지정책 현상을 사회체제를 넘어 여러 사회에 적용하고 비교할 수 있는 이론적 준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점은 사회복지정책의 비교연구에 유용한 기준으로 적용할
...
개념, 정의, 특징, 특성,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