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보건복지에 대한 서비스는 별도의 전달체계를 가지지 않고 시 ․ 군 ․ 구, 읍 ․ 면 ․ 동의 지방자치단체 조직을 활용하여 왔다. 반면 교육부, 노동부, 보훈처는 해당 부서의 업무를 각 지역에 특별기관을 설치 및 운영함으로써 수행해왔다.
사회서비스와 관련해서는 국민의 정부가 추진한 '읍 ․ 면 ․ 동 기능전환과 주민자치센터의 설치 ․ 운영 시책에 따라 읍 ․ 면 ․ 동의 업무 중 과반수 이상을 시 ․ 군 ․ 구청으로 이관하고 여유 공간은 주민자치센터로 전환하였다.
이처럼 읍 ․ 면 ․ 동 기능이 제증명 발급 등 민원업무로 재편되었으나 복지업무는 현장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읍 ․ 면 ․ 동에 대부분의 기능이 그대로 남아
[사회복지정책의 체계] 공공부조와 사회보험 및 사회복지서비스 [사회복지정책의 체계] 공공부조와 사회보험 및 사회복지서비스
목차
Ⅰ. 사회복지정책의 영역
Ⅱ. 공공부조
1. 공공부조의 개념
2. 공공부조의 역사
3. 공공부조의 원리와 특징
4. 공공부조의 종류
Ⅲ. 사..
공적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공적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1) 공적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실태
현대사회에서 사회복지서비스는 공식적으로 조직된 조직을 통해서 전달되도록 법률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다. 공적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